"요즘 나에게 있어 글쓰기란 엉엉 우는 일과 비슷하다는생각을 한다. 이왕이면 온 힘을 다해 남김없이 잘 울고 싶다. 홀가분한 마음으로 남은 일을 해낼 수 있도록. 그리고어디선가 혼자 우는 사람이 없는지도 돌아보고 싶다. 누구도 혼자 울지 않았으면 한다." ‘작가의 말’에서
"그래." "그럼 이번 여름에?" "콜." 그게 진영과 내가 세운 계획의 전부였고 그때까지만 해도 거의농담이었다. - P11
하지만 나는 지나가지 않은 것에 대해 말하는 게 늘 두려웠다. 말하는 순간 다른 것이 되어버릴 것만 같았고 나로서는 변화를 감당할 수 없을 것만 같았고 그 변화에 대해 누군가에게 다시 설명해야 하는 것도 자신이 없었다. 나는 내가 다 겪은 것, 감당한 것, 견뎌낸 것에 대해서만 다른 사람과 공유할 용기가 났다. - P25
우리가 해변에서 주운 쓸모없는 것들은 이제 모래바람에 파묻히고 없다. 물론 완전히 없는 것은 아니지만 예전에 우리가 모아둔 방식으로는 더이상 없다. 우리는 커다란 비치 타월을 함께 뒤집어쓰고 해변을 떠난다. 천천히 아직 오지 않은 날 쪽으로. - P38
내가 식당을 연다는 소식을 들은 민구는 카톡으로 웬 헛소리냐는 표정을 짓는 듯한 개 이모티콘을 보냈다. 처음 봤을 때 민구와정말 닮았다는 생각이 들어서 내가 사준 것이었다. -선미 니는 요리 못하잖아. 민구는 연달아 카톡을 보냈다. - 돈도 없고. - P161
"더럽겠지?" 혜수가 주변을 두리번거리며 말했다. "뭐가?" "이불 말이야. 도로변에 이렇게 펼쳐놔서 매연을 다 뒤집어쓸거 아냐." "다 들리겠다." - P149
"내가 그렇게 티를 냈어?" "너는 늘 네 슬픔이 가장 크지." 그런 말을 들을 때마다 정은은 놀랐다. 안 그런 사람도 있나? 그런 의문 때문에, 자신의 것보다 다른 사람의 슬픔이 더 큰 사람도있나. 정은은 여러 번 따져본 끝에 어쩌면 혜수야말로 그런 사람인지도 모른다고 생각했다. - P135
"한국 사람이에요?" 유코가 일본어 억양이 섞인 한국말로 물었을 때는 이런 폭력적인 사람은 한국인뿐이라는 걸까 싶어 더더욱 민망해졌다. 내가 고개를 끄덕이자 유코는 다짜고짜 자기가 한잔 살테니 밖에 나가서맥주를 마시자고 했다. 살짝 당황해하는 나를 보며 유코는 혼자서술을 마시러 가기가 싫어서 그런 거라고 덧붙였다. 나는 피로했지만 이런 것도 여행이 아니라면 할 수 없는 일이라는 생각에 유코를 따라나섰다. - P109
"올봄에 죽었거든요. 살아 있을 때 좋아하던 건데, 비싸서 못 샀어요. 곧 생일이라 납골당에 그거라도 갖다주려고요." 에구, 젊은 사람이 안됐네, 미안해라, 하며 다들 당황해하는 가운데 미라씨가 소리쳤다. "생일 선물로 중고를 주는 사람이 어딨어!" 그 말에 나도 모르게 웃음이 터졌다. - P89
-또 먹으러 와. 뜻밖이었다. 그 문장을 물끄러미 보면서 나와 다시 만나고 싶다는 건가 의아해하는데 이어서 메시지가 왔다. - P69
공장에 도착하니 직원 셋이 나와 나를 맞아주었다. 육칠십대쯤으로 보이는 여자 둘과 그중 더 키가 큰 쪽의 며느리라는 필리핀여자였다. 숙모는 보이지 않았다. 키 큰 여자가 물었다. "배달하러 온 거 맞지요?" - P49
고속버스에서 내려 올라탄 시 외곽행 시내버스에는 밤늦게 이곳에 도착한 나와 금요일 밤을 즐기다 귀가하는 듯 보이는 세 명의 동남아계 남자뿐이었다. 한참을 달리던 중 내 뒤에 앉은 한 명이 내 어깨를 툭툭 치길래 돌아봤더니 그가 술냄새를 풍기며 "누나, 우리집에 안 갈래?" 하고 말을 걸었다. - P4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