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렇게 책장을 훑어보다가 어떤 책이 문득 자기를 끌어당기면 그 책을 산다. ‘새책방‘을 사람이 책을 선택하는 곳이라고 한다면 ‘헌책방‘은 반대로 책이 사람을 선택하는 재미있는 일이 일어나는 가게다. - P7
그래서 생각해낸 방법이 바로 ‘사연 수집‘이다. 오랫동안 책을 찾아다니는 데에는 나름의 이유가 있기 마련이다. 나는 책 찾기를의뢰하는 손님에게 수수료 대신 책을 찾고 있는 사연을 받는다. 이야기를 들어보고 흥미로운 이유가 책에 얽혀 있으면 그것을 찾아준다. 또한 그 이야기에 등장하는 사람을 익명으로 쓴다는 약속 아래 이렇게 글로 풀어내 언젠가 다른 사람들에게 공개하는 것에반대하지 않는다는 규칙이 있다. - P7
책은 작가가 쓴 이야기를 담고 있지만, 그 책을 찾는사람들은 거기에 자기만의 사연을 덧입혀 세상에 하나뿐인 새로운 작품을 만들어낸다. - P17
책은 음악과 비슷해서 그 안에 한 가지 의미만 있는 게 아니다. 정해진 줄거리가 있는 소설이라고 해도 읽는 사람에 따라, 그리고그 책을 언제 읽었는지에 따라서 의미는 다른 방향으로 가지를 뻗는다. - P18
"일단은 가사가 있는 음악 자체를 별로 좋아하지 않거든요. 같은 이유로 클래식이라고 해도 오페라나 가곡은 잘 안 듣습니다. 가사가 있으면 어쩔 수 없이 그 내용에 주의를 기울이게 되는데, 가요라면 보통은 사랑에 관한 이야기잖아요?" "사랑 이야기를 싫어하세요?" S씨는 내 대답이 흥미롭다는 듯 눈을 크게 떴다. "싫어한다기보다. 여태 그런 절절한 사랑을 못 해봐서라고 할까요? - P19
"물론 그렇지요. 《롤리타》는." 이렇게 말하면서 S씨는 가볍게 미소를 지어 보였다. 그러고는 곧 말을 이었다. "제가 찾는 건 《롤리타》가 아니라 《로리타》입니다. 1980년대에 ‘모음사‘라는 출판사에서 펴낸 책이어야 합니다. 그때는 제목이《로리타》였죠." - P20
"제가 맡은 첫 과외 대상은, 중학교 2학년 여학생이었습니다. 그리고 이 학생이 마지막이었습니다." 대학생과 열네 살인 중학생. 둘 사이에 무슨 일이 있었던 게 분명하다. 게다가 찾으려는 책은 중년 남자가 어린 여자에게 집착하는 내용이 줄거리인 소설이다. 그러나 우리의 삶이 늘 그렇듯 어떤 일이든 너무 섣부르게 단정지을 수는 없다. 이야기는 계속 이어졌다. - P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