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가노트를 쓰는 데 혹시 도움이 될 만한 게 있을까 싶어 그해의 일기장을 꺼내 봤다. 몇 해 전부터 나는 날마다 서너 문장을 넘어가지 않는 짧은 일기를 쓰고 있는데, 나의 일상이라는 게 대부분 소설 생각에 저당잡혀 있으니 뭔가 결정적인 단서를 발견할수도 있지 않을까 싶었다. 이를테면 이 소설을 쓰지 않을 수 없었던 동기나 신념 같은 것들, 이 소설의 실마리가 되어준 생각이나상황 같은 것들, 단지 곤란하고 답답했던 기분만으로 소설이 쓰였을 리는 없으니까. - P138

소설과 삶이 서로에게 무용하지 않음을 증명하는 것. 소설과삶이 서로를 외면할 수 없음을 확인하는 것. 요즘 내게 점점 더 중요해지는 건 바로 이런 일들인 것 같다. - P139

소설에서 삶을 말끔하게 분리하는 노력이 아니라 소설과 삶 사이의 복잡한 긴장을 버티는 노력을 하고 싶다. 완전무결해지려는노력이 아니라 그럼에도 천천히, 조심스럽게 연루되어보려는 노력을 하고 싶다. 어차피 어려운 일이라면, 그래도 무릅쓰고 싶다면 그게 더 좋을 것 같다. - P139

로맨틱한 끌림은 느끼는 유로맨틱이며 그 가운데서도 자신은 양성 모두에게로맨틱한 감정을 느끼는 논모노로맨틱, 인주는 이성에게만 느끼는 모노로맨틱이라고 덧붙인다. 주호의 설명에 ‘나‘는 처음엔 의문과 거부감이 들고 이내 배신감을 느낀다. 한때 "접점"(109쪽)이 있는 ‘우리‘ 였으나, 그 결속을 풀어버린 것은 바로 ‘너‘라는 배신감. 그것이 주호와의 만남을 지연시킨 원인이었다.

하루는 주호씨를 미행했어요. 윤범씨를 만난다는 날에요.
네? 언제요?
이번 여름이니까 얼마 안 됐죠. 알아요, 한심하죠. 근데 그렇게안 하면 나중에 후회할 거 같더라고요.
인주씨가 내 반응을 살필 시간이 필요한 것처럼 잠시 쉬었다.
말했다.

끝내 지우지 못하는, 아니 모조리 지워도 속절없이 다시 쓰게 되는 그 대사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