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준호 기자 whorun@hani.co.kr ‘인터뷰어와 ‘인터뷰이‘는 적을 때마다 헷갈리는 단어다. ‘인터뷰라는 행위를 두고 행하는주체(인터뷰어)와 당하는 객체(인터뷰이)가 민첩하게 머릿속에 정돈되지 않는 탓이다. 인터뷰어는 질문몇 개를 던질 뿐이다. 주체라기엔 어딘지 미심쩍다. 인터뷰이는 대화 대부분을 점한다. 글의 목적 또한그의 모습을 그리는 데 있다. 그런데도 어째서 주인 아닌 손님(객체)의 접미어(이)를 달고 있는가. 애먼데 심통 부리다, 끝내 대상이 있는 모든 말과 글의 주인과 손님 자리를 궁리하게 되는 것이다. 김혜리(51)의 이력, 1995년부터 <씨네21) 기자로 주로 <씨네21>에 글 썼다. 2005년부터2010년까지 ‘김혜리가 만난 사람 꼭지에 배우부터 정치인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의미의) 창작자50명의 진심을 옮겼다. 인터뷰어였다. 2010년부터 2020년까지 김혜리의 영화의 일기‘ 279편을 적었다. ‘영화가 쓰다듬고 부딪히고 할퀸 자국이 사라지기 전에 남긴 인증숏‘ 같은 글로 설명한다. 2009년부터2010년까지 그림 에세이 김혜리의 그림과 그림자‘를 썼다. 낯설고 아름다운 그림과 낯익은 아름다운문장이 가득했다. 영화 혹은 그림 리뷰어였다. 물론 특별한 꼭지명을 달지 않은 영화 기사와 리뷰, 인터뷰는 더 많다. 리포터였다. 홀로 저자가 된 책 여섯 권(25쪽 출간 목록 참조)은 그런 글을 추리고 이덧댄 모음집이다. - P23
손님이라 주인(영화와 인물)의 심기를 예민하게헤아렸고, 자신에게 미친 영향을 면밀히 살폈다. 자신에는물론 관객이며 독자인 우리도 포함된다. 김혜리의 헤아림이아니었다면, 조앤 이어들리의 그림을 보며 한 사람으로 아이들을인정하는 태도가 맹목적 애정만큼 의미 있다는 사실을 깨달을수 없었을 것이다.(그림과 그림자), 95쪽) 성장영화들이 품은노스탤지어가 미래와 맺어진 정서일 수도 있다고, 상상할 수 없었을것이다.(영화야 미안해), 188쪽) 이런 목록은 백 개도 더 적을 수있다. - P24
질문할 때 특별히 생각하는 부분 있습니까? "인터뷰이의 호흡, 어떤 분은 질문을 던지고 (고개를주억이며) 셋, 넷 하고 답변합니다. 어떤 분은 바로 질문의 끝을잡고 답합니다. 그 호흡을 존중하지 않으면 생각 중에 끼어들거나, 생각하고 있던 답 대신에 다른 질문을 하는 일도 생길 수 있어요. 예전에는 질문을 많이 뽑아 갔는데 그게 능사가 아니라는 생각도듭니다. 질문 개수를 줄여보려고 합니다. 우선 제 체력이 달립니다. 물론 상대의 집중력도 흩어집니다. 서너 시간을 허락받아도 그시간을 다 채우는 게 중요하지는 않았습니다. 3시간15분 이후의말에서 쓸 게 없거나 겨우 한두 개 건진 일도 있어요." - P25
보고 나서 바로 정리하자는, 그러나 만년 새해 결심일 뿐입니다." - P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