풀 베팅
서정윤 지음 / 스칼렛 / 2012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저는 이 책을 1막, 2막, 3막으로 나눠봤어요.

1막은 크루즈안, 2막은 한국, 3막은 미국으로요.

그런데 1막에선 진도가 안나가더라고요. 쉬엄쉬엄 쉬어가면서 겨우 읽었어요.

그 이유가 여주의 직업이 유명한 바이올리스트라고 나와서 인데,

그 전 몇몇 책에서 음악도인 주인공들 이야기를 즐겨 읽었었고

그네들이 '열심'이란 단어가 부족할 정도로 음악가로 열정적으로 살아가는 내용이어서 인듯 하네요.

여러 '음악'이 주제인 책을 읽다보니 종종 등장하는 명언이 있어요.  

20세기 후반 클래식 음악계를 이끈 마에스트로 레너드 번스타인의 명언인데

"하루를 연습하지 않으면 내가 알고, 이틀을 연습하지 않으면 아내가 알고, 사흘을 연습하지 않으면 청중이 안다."

세연이 언니의 죽음에 대한 진실을 파헤치는데 집착하는거 이해는 해도

크루즈 여행 기간 동안 전혀 음악에 대해서 나오지 않고

오직 남자를 유혹하려 드는데만 집중하는 모습이라 거부감이 든 듯 해요.

1막을 읽으면서 느낀건 차라리 음악도라고 하지 말든가..였거든요. 그랬으면 더 가까워졌지 싶어요.


2막에선 행복과 긴장감이 들었어요.

꾀를 써서 대황가(家)에 들어갔지만, 범인이라 여겨지는 자를 만나서 어찌 하려고 조마조마 하면서 봤어요.

정욱과 함께 하면 행복해 보이다가도

고공에서 외줄타기를 바라보는 것 마냥 긴장도 되더라고요.

행복과 긴장이 어우려진 2막이었어요.

아무런 힘도 배경도 없는 서민 그 자체인 여주가

거대한 벽 안쪽에서 안전하게 보호 받으며 사는 남자를 어떻게 벽 밖으로 끌어내려는지

지켜 보는 긴장감이 즐겁기도 했고요.

그러면서도 한 편으로 여자에 대한 불신을 어렵게 떨쳐내고 사

랑하는 여자와 함께 하는것 그 자체만으로도 하루가 즐거운 정욱의 입장을 보니 안타깝기도 하고..

세연의 복수씬이 강렬하다보니 정욱이 조연스러워보이기도 하였고요.


3막에선 죄책감과 그 모든 허물을 덮을 큰 사랑을 느꼈지요.

대황가나 나세연이나 서로가 껄끄러울 사이일테지만

그룹의 명예 보다는 아들의 안위를 우선시 하는 부모 덕분에 조금은 짐이 가벼워진 정욱과

복수는 했지만 이용했다는 죄책감에 선뜻 다가가지 못하는 세연의 입장,

그리고 이 두 사람을 사랑으로 보듬어주는 정욱네 가족들..

감정을 울리는 3막이어서 읽는 종종 눈물나더라고요.

특히 언니의 죽음을 조사하면서 썼던 절망이 가득한 일기를 읽고나니

1막에서 생겼던 거부감이 사라지더라고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