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행어사 출두야?
김서현 지음 / 스칼렛 / 2013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시대물을 좋아해서 고른 책인데 음..무난하게 읽었읍니다.

초반 읽던 중에 나오는 소리패의 이름이 동방신기라고 불리는 부분을 보고

헛웃음이 나왔거든요. 같을 동, 방 방, 믿을 신, 일어날 기..

같은 방에서 살던 동기들이 신의를 일으키다 라는 동방신기..

이 작가님 동방신기 팬인가 싶었었죠.

현 동방신기의 일을 이렇게 꼬집나 싶고..

게다가 여주가 남장을 하고 암행에 나설 때 책방에서 고른 책 중 하나가

여림 이란 사람이 쓴 암행기록인데

그 암행 기록에 어디 지역의 기생 이야기뿐이란 걸 보고 이거 그 여림이잖아~

아는 사람은 다 아는 그 잘금 4인방중 한 사람의 짧막한 등장에 헛웃음까지 나더라고요.

이 여림이란 단어 때문인지 읽으면서 저도 모르게 잘금 4인방을 떠오르게되더라고요.

여주가 남장한 것도 그렇고 암행으로 나선 지역의 힘들게 사는 사람을 보고

의적마냥 못된 부자를 혼내주고 중간에 온양에 오신 임금을 만났을 때

남장한 여주를 보고 재미있어 하는 임금을 보면서

그 중후하신 임금님도 생각나고..

물론 두 책의 색은 완전히 다르거든요.

암행으로 간 곳에서의 활약도 재미있고..잘 쓰셨더라고요.

그런데 두 사람이 노론과 소론 영주의 자식들이라 어떻게 맺어지려나 궁금했는데

결론은 확실히 난게 아닌걸로 끝내서 아쉬웠어요.

현대식으로 보면 그냥 사귀는 중간 단계 같다랄까요?

조선시대라서 빠른 결혼이나 매파 오고가는걸 봐야 안심되는 심정인데 말이지요 

잘 가다가 중간에 무너진 도로 앞에 선 기분이었지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