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 大學 - 시대를 초월하는 일목요연한 가르침
심범섭 지음 / 시간과공간사 / 2017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작년부터 독서에 온 마음을 쏟고 있다. 아직 많은 책을 읽지는 못했지만 재미있는 독서활동을 하고자 노력하던 중, 흥미 위주로만 읽지 말고 좀 더 깊이 있는 독서를 해야 하지 않을까란 생각을 하게 되었다. 이런 생각을 크게 심어준 책은 이지성 작가의 <리딩으로 리드하라>이다. 너무나도 공감이 많이 되는 내용이 담긴 이 책의 메인 취지는 '인간은 인문고전을 읽어야 한다'이다. 이지성 작가의 강력한 외침을 이 책을 통해 느낄 수 있다.

어렵다고만 생각했던, 혹은 아예 고전이 무엇인지도 모르는 나에게 인문학에 눈을 뜨게 해준 후 계획을 세우고 하나둘 인문 고전을 읽어 나가는 요즘이다. 지금까지 <논어>와 <사기>를 읽어보았는데, 이번에 <대학>을 만나보게 되었다.

 

저자 심범섭의 프로필이 나와 겹치는 부분이 있다. 작가의 이름이 심범석인지 심범섭인지 헤깔린다. 개명을 하셨거나 필명이 따로 있나보다. 대학에서 전자공학을 공부하고 IT 회사에서 근무를 했다는 이력이 있는데, 우연한 기회에 <주역>을 접하고 뒤늦게 동양고전에 빠져 공부를 했다고 한다. 동양고전에 빠져 학교를 가지 않은 부분만 제외하고 나와 너무 동일하다. 동양고전의 매력에는 빠져있으나 심도 있게 공부를 하기엔 능력이 아직 부족한가 보다. 책을 읽고 있으면 머릿속에 담고 싶은 좋은 글귀가 너무 많은데, 책을 읽던 중 다른 일을 하다가 그 글귀를 회상하면 생각이 잘 안 나서 속상하곤 하다. 어렴풋이 이해해서 그런 것이 아닌가 싶다는 생각도 든다.

 


심범섭 작가가 설명해주는 <대학>을 읽는 방법과 왜 <대학>을 읽어야 하는지에 대한 부분이 좋았다. 왜 <대학>을 읽어야 하는지는 알겠는데, 어떻게 읽어야 하는지의 방법론적인 측면에서는 초보이기 때문이다. <대학>은 그 체계가 중요한데, 본문의 내용과 설명을 읽어 나가다 보면 전체 윤곽을 잊고 산만해질 수 있기 때문에 먼저 체계와 원리를 이해하고 숙지한 다음 본문을 읽는 것이 좋다고 조언한다. <대학>을 읽기 전에 역사적 배경을 기술한 '대학장구서'와 읽는 방법을 설명한 '독대학법'을 먼저 읽으라고 권장한다.

<대학>을 읽으면 읽을수록 우리나라 정치가들에 대해 생각을 하게 된다. 높은 자리에 있을수록 바른 도리를 행해야 하고, 지도층이 모범을 보여야 한다는 내용을 읽으며 씁쓸한 마음을 감출 수 없었다. 

현인을 보고 천거하지 못하고 천거해도 먼저 쓰이도록 하지 못하는 것이 태만이고, 불선한 사람을 보고 물러나게 하지 못하고 물러나게 해도 멀리하지 못하는 것이 허물이다.
대학 전문 10-12


위의 가르침을 박근혜 전 대통령이 <대학>을 통해 접하고 실천을 할 수 있었다면 지금과 같은 사태까지 오지 않았을 것 같다. 부디 지금 대통령은 고전을 읽고, 읽은 것을 실천할 수 있는 현명한 군주가 되길 바란다.

다소 딱딱하게 느껴질 수 있는 원문의 나열이 아닌, 각 원문의 해석이 현대와 맞물려서 좀 더 쉽게 이해할 수 있었던 점이 좋았다. 워낙 좋은 내용이 많고 가독성이 좋아서 고전에 대해 좀 더 친숙한 마음이 생겼다.

<대학>을 읽고 난 후 <중용>을 꼭 읽으라고 권하는 저자의 말처럼, 다음 인문고전은 <중용>을 만나봐야겠다. 나처럼 인문고전의 초보인 사람도 부담 없이 읽을 수 있는 동양고전 <대학>을 추천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