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만 하는 부모, 상처받는 아이 - 부모의 좋은 습관이 아이의 인성을 채운다
김은미.서숙원 지음 / 별글 / 2016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이를 키우다 보면 욱하는 내 모습에 그리고 어떻게 대처해야 할지 모를 때 육아서적을 꺼내본다. 어쩌면 나도 다 이미 아는 내용이지만 스스로를 돌아보고 반성하며 개선하려는 의지를 불태우려 육아서적을 주기적으로 읽는 것 같다.

<말한 하는 부모, 상처받는 아이>는 책 제목에서도 느끼겠지만 부모가 바로 서야 아이가 제대로 클 수 있다는, 즉 부모에게 똑바로 살라며 일침을 가할 것 같은 책이었다. 책을 읽으며 역시나 반성하는 마음으로 그리고 나처럼 육아로 고생하는 엄마와 담소를 나누듯 읽은 것 같다. 말만 하는 부모는 되지 말자!

아이가 문제가 아니다. 태어날 때문에 문제가 있는 아이는 없다. 부모가 그렇게 만드는 것이 자명하다. 배려가 없는 부모 아래 배려심이 부족한 자녀가 성장하고, 거짓말을 일삼는 부모 아래 거짓말쟁이가 탄생할 확률이 매우 높다. 즉, 육아를 생각하고 아이들 교육에 대해 생각하기 앞서 나 스스로를 돌아보고 나의 인성에 대해서 생각해본다.

 

내가 입버릇처럼 "힘들다, 피곤하다"란 말을 잘 하는 편인데 어느 순간 지켜보니 우리 아들이 입버릇처럼 말한다. '힘들다고... 야 인마, 모가 힘들어?'라고 속으로 생각했지만, '나를 따라 하고 나를 닮는구나'라고 생각하며 반성을 했던 기억이 난다. 사실 나 역시 쉽게 고쳐지지는 않는다. 긍정적인 모습에 환한 가정 분위기를 만드는 건 "엄마의 몫"이라고 저자는 말한다. 따뜻하고 재미있는 집 공간을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

 

이게 배려도, 참을성도 사라지는 현대인들의 또 다른 질병인가 싶다. 아주 못된 병이고 몹쓸 병이다. 눈에 보이는 곳이 아프면 주사 맞고 약 먹고 치료라도 하는데, 눈에 안 보이는 이런 질병을 무엇으로 치료할지는 우리가 풀어야 할 숙제다.


 

이 책에서 재밌는 점은 나를 테스트하는 항목이 많다. 테스트 결과를 보며
나를 좀 더 알 수 있다. 우리 자녀가 이렇다 저렇다는 이야기보다 결국 나를, 부모인 나를 더 알아가고 변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이 내내 강조하는 책이다.

이 책은 새로운 학설을 기재한 것이 아니다. 뭔가 나는 크게 모르고 남들만 아는 육아의 노하우가 기록된 책도 아니다. 결국 답은 내 안에 있고, 내가 완전해야 아이도 잘 키울 수 있다는 공감을 할 수 있는 책이다. 인성의 중요성에 대해서는 너무나도 당연하지만, 이를 실천하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하고 실천하고 좋은 본보기를 보여야 한다는 점을 마음과 머리에 다시 한번 각인시켜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