랩 걸 - 나무, 과학 그리고 사랑 사이언스 걸스
호프 자렌 지음, 김희정 옮김 / 알마 / 2017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표지가 정말 너무 에쁜 책이라 첫인상이 참 좋은 책이었다. 책 제목도 간단하게 『Lab Girl』. 책 제목을 한국어 번역으로 '연구실 소녀'로 했다면 이상하게 모양새가 안 나왔을 것 같아 그냥 영어 그대로 책 출판을 했나 보다.

『타임』이 선정한 2016년 가장 영향력 있는 인물 100인으로 뽑힌 여성 과학자 호프 자런이 집필한 책이라 작가도 궁금하고 그녀는 어떤 일을 하는지 궁금해서 책을 골랐다. 그녀의 이름이 너무 예뻐  띄었다. Hope, 바로 희망이다.

이 책을 읽으며 나는 작가 호프 자런의 매력이 푸욱 빠지게 되었다. 그녀의 열정에 감탄이 절로 나오고, 자기 성찰과 그녀가 세상을 바라보는 따뜻한 시선에서 진솔함이 묻어 나와 마음마저 훈훈해진다. 다소 엉뚱하고 다소 무모하기까지 한 호프의 이야기를 흥미롭게 읽을 수 있다.

어렸을 때 아버지 실험실에서 놀던 어린 여자아이가 과학자를 꿈꾸며 겪게 되는 다양한 에피소드들을 보며 짠하기도 하고 대단하다고 생각도 든다. 비인기 분야라서 연구비 스폰을 받을 수 없을 때 호프와 빌이 이겨내야 했던 현실적인 문제점들, 하지만 그녀의 식물 사랑과 열정, 순탄치 않은 개인적인 삶 등을 보며 세상 사는데 쉬운 일이 없지만 한 인간의 열정이 얼마나 대단한지에 대해 보여주는 이야기었다.

책을 읽어가며 생소한 어휘가 많아 쉽지만은 않아 검색하고 이해하며 읽어가야 했던 부분도 있다. 책 첫 장부터 "계산자"라는 단어에 첫인상과는 달리 어려울 수 있는 책이겠구나 싶었는데 역시 쉽게 휘리릭 읽을 수 있는 책은 아니었다. 하지만 그녀가 사랑하는 식물 이야기, 과학자로서의 그녀의 삶을 통해 그 역경을 다 이겨내고 지금의 호프 자런을 보니 정말 대단하다고 생각했다.

 

 

계산자 [출처: 네이버 이미지]

나는 남의 말을 듣는 데 능숙하지 않기 때문에 과학을 잘한다. 나는 똑똑하다는 말을 들었고, 단순하다는 말도 들었다. 그리고 너무 많은 일을 하려ㄱ 한다는 말을 들었고, 내가 해낸 일은 아무것도 아니라는 말도 들었다. 내가 여자이기 때문에 하고 싶은 일을 할 수 없다는 말을 들었고, 내가 여자이기 때문에 내가 한 일을 할 수 있었다는 말도 들었다. 나는 영생을 얻을 것이라는 말을 들었고, 일을 너무 많이 해서 일찍 죽을 것이라는 말도 들었다. 너무 여성적이라는 꾸지람을 들었는가 하면 너무 남성적이어서 못 믿겠다는 말도 들었다. 내가 너무 예민하다는 경고를 받은 적도 있고, 비정하고 무감각하다는 비난도 들었다. 그러나 그런 말을 한 사람들은 모두 나만큼이나 현재를 이해하지 못하고, 미래를 보지 못하는 이들이었다. 그런 말을 반복해서 들으면서 내가 여성 과학자이기 때문에 누구도 도대체 내가 무엇인지 알지 못하고, 따라서 상황이 닥치면 그때그때 내가 무엇인지를 만들어나가면 되는 값진 자유를 만끽할 수 있다는 사실을 받아들이지 않을 수 ㅇ벗었다. 나는 동료들의 충고를 듣지 않고, 나도 그들에게 충고하지 않으려고 노력한다. 스트레스를 받으면 다음 두 문장을 되뇐다: 이 일을 너무 진지하게 받아들여서는 안 된다. 그렇게 해야만 할 때를 빼고. pg 396

그녀의 생각을 들으며 많이 공감하였다. 남의 말 들을 것 없다는 말이 절로 나온다. 그들도 나만큼이나 현재를 이해하지 못하고 미래를 보지 못하며 나 뿐 만 아니라 본인 자신도 잘 모르는 미개한 인간이기 때문이다. 자런의 표현을 빌리자면 개미에 불과하다.

우주에서 본 지구는 해마다 조금씩 녹색이 줄어가고 있다. 컨디션이 나쁜 날이면 내가 살아 있는 동안 이 전 지구적인 문제들이 악화되고만 있다는 생각을 하게 되고, 늘 마음 깊숙한 곳에서부터 나를 괴롭히는 문제들, 즉 우리가 이 세상을 떠날 때 자손들을 황폐한 폐허에 남겨두고 떠날 것이라는 두려움, 지금까지 어느 때보다 더 병들고, 굶주리고, 전쟁에 시달리고, 심지어 녹색이 주는 소박한 위안마저도 박탈당한 채 사는 세상을 남기고 떠나게 될 것이라는 두려움을 피할 수 없다. 그러나 컨디션이 좋은 날이면, 이 문제에 대해 뭔가를 할 수 있을 것 같은 생각이 들기도 한다. pg 400

이 책을 읽으니 호프 자런의 조언대로 떡갈나무를 매년 심고 싶은 마음이 절로 생긴다. 지금 우리가 아무 느낌 없이 누리는 이 많은 혜택들을 우리 다음 세대들도 누릴 수 있도록 잘 보존해야겠다는 생각도 들게 하는 책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