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말 절대지식 - 천만년을 버텨갈 우리 속담의 품격
김승용 지음 / 동아시아 / 2016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우리말 절대지식』은 여러 유사한 속담들 가운데 대표 속담을 가나다순으로 배열하고 이와 비슷한 속담들을 같이 묶어서 만든 책이다. 중간중간에 사진과 그림이 있어 이해하기가 훨씬 좋았다. 가나다순이라 찾아보기도 매우 쉬웠으며 여느 책들처럼 읽어가는데도 너무 재미가 있다. 사전이라는 느낌 보다는 완독을 하고 나면 정말 박식해질 것 같았다.
실제 책은 깨끗하고 고급진 화이트 커버인데 사진을 찍으니 동일한 느낌이 안난다. 실제 책을 보면 정말 소장하고픈 마음이 들게 만든다.

속담을 쉽게 찾을 수 있도록 <대표속담 찾아가기>가 있고, <한자성어 찾아가기>가 있어 한자성어에 맞는 우리 속담을 알 수 있으며, 성어의 뜻과 유래까지도 알 수 있도록 구성됐다.

 

 

바가지를 긁는다는 말이 있다. 이는 아내가 남편에게 생활고에 대한 불평이나 기타 잔소리를 하는 것을 말하는데, 실제 왜 '바가지'를 인용했는지에 대한 설명을 한다. 병균에 대한 이해가 없던 옛날에는 전염병은 귀신이 찾아와서 생기는 병이라고 알고 있었다고 한다. 그래서 바가지 안팎을 마구 긁어대 귀에 거슬리는 시끄러운 소리를 내면 귀신이 견디다 못해 도망간다고 믿었다. 그래서 피곤하고 성가신 요구나 말을 하며 못살게 구는 것을 바가지 긁는다는 표현을 했다고 한다. 이처럼 깊은 속뜻을 알고 말하면 속담이 잘 기억이 날 뿐 아니라 왜 이런 말이 생겼는지에 대한 이해도도 높아진다. 더불어 '뒤주'란 단어를 언급한다. 그래서 뒤주라는 단어를 찾아가면, '뒤주 밑이 긁히면 밥맛이 더 난다' 라는 말도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 말의 뜻은 있던 것도 없어지거나 부족해지면 더 간절해진다는 말이라고 한다. 이런 말이 왜 나왔는지를 살펴보면, 뒤주는 옛날 쌀통을 말하는데, 곡식이 거의 다 떨어져서 바가지에 뒤주 밑바닥이 긁히게 되면 앞으로 먹을 게 없다는 생각에 밥이 더 맛있게 느껴진다는 말이다. 바가지를 생각하면 떠오르는 속담이 벌써 2개나 생겼다.

 

'눈 가리고 아웅 한다'는 한자성어로 조삼모사, 장두노미, 엄이도종, 지록위마, 양두구육, 낭중지추와 유사하게 사용된다.
또한 요즘엔 '약을 판다', 또는 '누워서 들어가 걸어서 나온다' 라고 사용되기도 한다.

이처럼 꼬리에 꼬리를 물며 속담을 배워나가니 몰랐던 우리말도 배우고 재밌는 옛이야기도 듣는 기분이다.

어른들도 아이들도 이 책을 통해 우리나라 말뿐 아니라 속담에 담겨있는 우리나라 풍습, 옛이야기를 알 주 있어 즐거움이 더하다. 이미 알고 있는 속담도 왜 이런 말이 생겼는지에 대해 배우는 것도 즐겁고, 사실 모르는 속담도 수도 없이 많다. 자주 쓰는 말인데 제대로 알고 사용하지 않던 것도 확인할 수 있었다.

요즘은 스마트폰 시대라 모르는 말이나 속담을 쉽고 빠르게 검색을 통해 알 수 있지만, 진정으로 우리말에 대해 깊이 있게 알고 싶다면 『우리말 절대지식』 을 통해 배우는 건 어떨까 싶다.
신문을 모바일에서도 볼 수 있지만, 진정 신문을 통해 지식이나 시야를 넓히려면 종이 신문을 보라고 한다. 같은 맥락이다. 꼬리에 꼬리는 무는 학식을 쌓으려면 이런 우리말 속담 사전 하나쯤은 가지고 있어야 하지 않나 싶다.
속담을 통해 역사도 알고 한자, 사자성어, 같은 말, 반대말 등도 함께 알아갈 수 있어 우리 아이들 교육에도 도움이 될 것이다.

영어공부를 한답시고 사전 하나는 가지고 있는 것은 물론이요, 단어를 외우고 쓰고 익히고, 철자 틀리는 것에 대해 많이 창피해하면서, 정작 우리말에 대해선 얼마나 잘 알고 쓰며, 모를 때 얼마나 열심히 찾고 외우고 익히는지 생각해보면 반성해야 할 사람들이 많을 것이다. 우리나라 사람들은 우리말이 으뜸이고 가장 잘해야 한다. 모국어를 잘해야 사실 다른 나라 언어도 잘 배울 수 있다는 것은 여러 논문들을 통해 입증이 됐다. 우리나라 말을 제대로 배우는 방법은 다독을 하며 모르는 단어를 많이 찾아보고 사용하는 것이라고 들었다. <우리말 절대지식>을 통해 한글, 한자, 어원, 사자성어, 유래어, 역사, 현대에서 사용하는 의미 등 많은 정보가 한 권에 다 수록이 되어 있다.

저자 김승용작가는 이 책은 사전식으로 구성했지만 사전이 아니라 책으로써 처음부터 차근차근 읽어주길 바란다고 했다. 이 책을 정말 여러 번 정독을 하면 우리나라 말과 속담에 대한 아는 수준이 매우 높아질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