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엄마 공부가 끝나면 아이 공부는 시작된다 - 세 아이를 영재로 키워낸 엄마의 성장 고백서
서안정 지음 / 한국경제신문 / 2019년 5월
평점 :
말 너무 와닿는 문구가 많은, 엄마로서 학부모로서 공감되고 배울 점이 많은, 반성하고 개선해야 할 부분을 깨닫게 해주는 육아 지침서를 만났다.
'세 자매를 영재로 키운 엄마의 경험담'이라는 책 소개보단 '엄마 고부가 끝나야 비로소 아이를 고유한 인격체로 키울 수 있다'라는 말이 더 와닿아 책을 읽기 시작했다.
아이를 키우다 보면 하소연하듯 "도대체 다른 집은 어떻게 아이들을 육아하나?" 란 말을 절로 하게 된다. 아이가 둘인데, 어쩜 한뱃속에서 이리 다른 성향을 가진 아이들이 태어났다. 첫째의 경험으로 둘째는 저절로 클 것 같았으나, 전혀 그렇지 않다. 모든 것이 새롭게 시작되고, 첫째 때 가지고 있던 육아에 관한 철학이 깡그리 무너지면서 다시 공부하는 마음으로 육아 서적을 읽고 있는 요즘이다.
육아교육, 참 어렵다.
뭐가 맞는지도 모르겠고.
사실 난 '영재'란 단어가 반감이 생긴다. 특정 고등학교, 대학교에 입학하고, 어느 직장에 들어가면 다 영재인가? 영재의 정의가 뭐야 대체? 이런 반감이 생기기도 하지만, 이 점은 그저 마케팅 용어라 치부하고 더 좋고 도움이 되는 경험담에 귀 기울이게 된다. 실제 책을 읽다 보면, 어떻게 영재로 키웠는지, 공부를 얼마나 열심히 시켰는지의 내용이 담겨 있는 것이 아니라, 어떤 환경에 노출시켰는지에 더 초점이 맞추어져서 현실적으로 많이 도움이 되었다.
육아를 하며 실질적으로 궁금해하는 부분에 대한 해답을 찾은 기분이 드는 부분이 상당히 많았다. 첫째가 고학년으로 올라가며, '게임'과 '핸드폰'에 대해 고민을 안 할 수가 없는데, 게임 중독에 대해 어떤 견해를 가지고 있는지, 어떻게 아이들로부터 게임 중독에 안 걸리 수 있게 하는지에 대한 '아이디어'를 현명하게 제안하는 부분이 좋았다. 양날의 검이라는 스마트폰은 어떻게 아이들에게 노출을 시켜주어야 하는지, 건강한 환경을 만드는데 노력을 한 저자의 육아 노하우가 매우 도움이 되었다. 특히 모든 대화 끝에, "너의 생각은 어때?"라는 하브루타 질문식 교육을 실천하는 모습에, 우리 집에서도 이러한 방법으로 대화를 해야겠구나란 가르침도 얻을 수 있었다.
내가 잘 하고 있나? 제대로 키우고 있나? 란 생각을 항상 하게 한다. 이런 좋은 경험담은 언제나 육아에 도움이 된다. 이런 책을 통해 자극을 받아 실천을 하려 노력을 더 하게 되는 것 같다. 마음이 어지럽고 지칠 때, 이 책을 꺼내들어 정신 치유와 육아법을 다시 교육받아야 할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