엄마에게 안부를 묻는 밤 - 세상에서 단 한 사람, 든든한 내 편이던
박애희 지음 / 걷는나무 / 2019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엄마'라는 단어는 참 따뜻하고 그립고 슬프다. 엄마의 고생과 희생으로 인해 내가 이렇게 성장했고, 엄마가 늙어가는 것을 보며 나의 젊음이 꽃을 피웠고, 어느덧 나 역시 엄마가 되어 엄마의 육아의 고충을 백번 이해하는 시간을 갖는다. 나를 닮은 딸이 성장할수록 나는 늙어가고, 우리 엄마는 더 늙어가고, 시간이 지나면 지날수록 엄마와의 헤어질 시간은 가까워지는데, 하루하루가 바쁘고 버겁다는 이유로 엄마 얼굴 찬찬히 볼 시간을 못 찾는다.

이 책은 13년 차 라디오 작가 박애희 씨가 엄마를 회상하며 쓴 글들이다. 이 책을 읽으면 마냥 눈물이 날 것 같아 읽기를 주저하다가, 이런저런 엄마의 불만으로 인해 꽁해 있는 내 마음에 단비를 내려주어야겠다는 생각이 들어 반감심+감동받을 준비+죄책감을 기대하며 읽기 시작하였다.

생각보다 덤덤하게 읽었다. 일부러 그런 건 아닌데 내 마음이 불손한건지 어쩐 건지, 자꾸 우리 엄마와 엄마 역할을 하고 있는 나의 행동, 그리고 박애희 작가와 작가의 어머니를 비교 분석하고 있는 나를 발견한다. 우리 엄마는 안 그랬는데... 혹은, 우리 엄마도 그랬는데... 나는 안 그래야지... 이러면서 뭉클하게 받아들이고, 차갑게 분석하고, 이런 엄마가 되어야지 하며 다짐하며 읽었다.

너는 엄마처럼 살지 말아라... 란 말씀을 하지 않으셨다는 박 작가의 어머님처럼 우리 엄마 역시 그런 말씀을 안하시고 나름 빛나는 인생을 사신다. 감사하면서도 불만인 것은 너무 각자의 인생에 충실하며 사는 모녀이기에, 좋으면서도 싫고 싫으면서도 다행이다 생각을 하며 모순된, 그리고 이중잣대를 자꾸 대게 된다. "세상에서 단 한 사람, 든든한 내 편'일 수는 있지만, 자식을 챙겨주는 정도의 차이를 자꾸 느끼게 되었던 것 같다. 리얼 모녀의 대화나 싸움 같은 에피소드를 읽으며, 나두나두 그런 적 있는데, 혹은 이런 가족문화에서 이런 모녀의 정이 쌓일 수도 있구나를 훔쳐보기도 한다.

엄마와의 이별은 언젠간 일어날 것이다. 작가의 글에서 오롯이 느낀 슬픔이 언젠간 나에게도 어떠한 방식으로 찾아올 것을 알기에 덜컹 겁이 나지만, 그래서 지금 이 시간을 더 소중하고 애틋하게, 그리고 감사하게 생각하며 엄마를 만나러 갔다. 가서 내내 잠만 자고 왔다. 특별히 아프지도 않았는데 친정에 가면 온몸이 아프고 잠이 쏟아져 금방 갔다 와야지, 하다가도 엄청 오래 있다 돌아오게 된다. 괜히 어리광을 부리고 싶은가 보다, 머리는 안 그러는데 몸이.

잔잔한 #박애희 작가의 에세이를 통해 '엄마'라는, 결국 '삶'이란 주제로 도란도란 이런저런 이야기를 나눈 기분이 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