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민 교수의 의학세계사 - 주술사부타 AI 의사까지, 세계사의 지형을 바꾼 의학의 결정적 장면들!
서민 지음 / 생각정원 / 2018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역사를 왜 공부해야 하느냐는 질문에 대해 처칠 영국 총리가 한 대답을 살짝 응용해서, 왜 의학의 역사를 알아야 하는지에 대해 서민 교수는 답을 한다. 의학의 역사를 알아야 현재의 의학을 이해할 수 있고, 더 나아가 의학의 미래를 만들 수 있으며 의학의 역사를 모르는 민족에게 건강은 없다. 즉 의학의 발전만큼 세계사의 변화를 잘 보여주는 학문도 없다는 것에 전적으로 동의한다. 역사를 의학의 발전과 때어놓을 수 없고, 직간접적인 영향을 주고 있기에, 의학의 역사를 중점으로 역사를 보는 것이 재미있을 것 같았다.

이 책을 읽으며 유발 하라리의 <#호모데우스>를 많이 회상하게 되었다. 역사에 관심이 많아 역사 관련 서적을 읽는데, 읽을 때마다 새롭다 생각했는데, 어느 정도 읽어본 책들이 쌓이다 보니 조금씩 다른 책들에게 읽어본 내용들이 기억이 났고, 여전히 새롭고 신기하고 "이런 일이 있었어?"하는 부분이 대부분이었다.

이 책은 총 4부로 전개가 된다.

고대 기원전 5300년~207년을 신의 시대라 일컫고, 중세와 르네상스 시대 1025년~1638년을 인간의 시대라 칭한다. 근대 1854년~1941년을 발견의 시대라 말하고 마지막에 1961년~현재로 예방의 시대로 나누어 역사적 흐름을 큰 키워드를 중점으로 과거부터 현재까지 논한다.

이 책의 내용 중 역시 4부인 현재 시점에 대한 내용이 가장 가깝게 다가왔고, 지금의 의학계 수준이 어느 정도인지, 어떻게 진화해가는지를 알게 해주어 유익했다.

이 책 내용 중 가장 재미있게 읽은 건, 부록인 '한눈에 알아보는 한국의학사'였다. 짧지만 임팩트 있고, 세계사도 좋지만 역시 한국사가 참 재미있다. 의학 서적의 보물, 동의보감에 대해 오랜만에 들으니 반갑기도 했다.

앞으로 의학이 어떻게 발전해나갈지, 저자의 말처럼 AI는 결코 의사를 대체할 수 없는지에 대해 생각해본다.

문학계엔 여전히 번역사가 필요하듯, 의사라는 존재는 영원히 필요할 것이라 판단하는 교수의 생각이 맞길 바라는 마음도 생겼다.

역사 서적을 좋아하는 독자라면, 의학이라는 측면에서 바라보는 세계사로 굉장히 흥미롭게 읽을 수 있을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