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리학자들이 알려주지 않는 마음의 비밀
대니얼 리처드슨 지음, 박선령 옮김 / 예문아카이브 / 2018년 11월
평점 :
절판


한동안 심리학 관련 서적을 봤던 것 같은데 최근에 본 적이 없고, '괴짜 심리학자'라고 불리는, 런던대학교 실험심리학과 대니얼 리처드슨 교수의 『심리학자들이 알려주지 않는 마음의 비밀』이 눈에 띄어 데리고 왔다. "상식은 심리학의 적이다"라고 말하는 리처드슨 교수는, 상식을 뒤집어야 마음이 보인다고 주장한다. 그의 주장과 알려주지 않는 마음이 비밀이 무엇일까? 하는 마음에 책을 읽기 시작한다. 특히 표지가 부여하는 의미가 궁금하기도 했다. 이 책을 다 읽고 나면, 의미를 알아차릴 수 있을까? 하는 생각도 들었다.

실험심리학과 교수답게 이 책은 많은 실험에 대한 소개가 된다. 가정과 실험 과정, 그로 인해 얻은 결과, 추정되는 결과 등을 보며, 이런 결과를 절대 고리타분한 논문을 읽을 수 없기에, 재미있는 책을 통해 흥미로운 실험 내용을 만날 수 있어서 좋았다.

이 책은 총 9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내가 기존에 읽어보았던 심리학 서적(모두 기억을 하는 건 아니지만) 중에서 구성이 탄탄하고 귀에 쏙쏙 들어와 너무 재미있었다. 특히 번역가의 센스에 반하였다. 중요한 이름이나 단어가 영어로 함께 기재가 되어 있어 이해하기 더 좋았다. 최근 신랑과 대화를 나누며, "인간은 정말 모순덩어리인 것 같다"라는 얘기를 한 적이 있는데, 이 책을 읽으며 인간의 본성과 마음, 사상, 상식, 추구하는 바, 고정관념 등에 대해 생각하는 계기가 되었다. 각 장에서 제목을 보면, 궁금해서 안 읽을 수가 없을 지경이다. 아무도 같은 색을 볼 수 없다, 언어는 생각을 구속하지 않는다, 보이는 것을 그대로 믿을 것인가 등등, 처음 1장 뇌에 관련된 실험을 읽고, 난 더 궁금하고 구미가 당기는 챕터로 점프를 하며 읽었다. 왠지 그래도 될 것 같아서. 

기발한 심리 실험 이야기가 가득한 『심리학자들이 알려주지 않는 마음의 비밀』, 교수가 소개하는 심리학에 대해 재미있고 흥미롭게 읽을 수 있어 추천하고 싶다.



심리학은 우리가 상식이라고 믿고 있는 것들을 계속 혼란스럽게 만들었다. 앞서 봤듯이, 사람들은 보상받는 것에 가치를 두지 않는다. '인지 부조화'라는 복잡한 논리를 통해 자기가 고통받는 것을 감내한다. 지금은 자기 주변 세상을 잘 알고 있다고 확신하지만, 시각 과학은 사실 우리가 주목하는 대상의 가장 협소한 일부분만 인식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우리 기억은 과거의 확실한 기록이 아니라 말할 때마다 새로 각색되고 조작되는 이야기다. 공정성과 평등에 대한 믿음을 아무리 성심성의껏 표현해도, 우리 행동을 통해 가장 추악한 고정관념이 드러날 수 있다. pg 260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