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연고
이생진 지음 / 작가정신 / 2018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작가정신 출판사 블로그의 글을 재미있게 올려주시는 박 대리님을 알게 되며 출판사 블로그에 자주 놀러 가는 요즘이다. 자주 놀러가다보니 출판업계에 대해서도 맛보기 식으로 알게 되고 작가정신 출판사에서 나오는 책도 어느정도 인지하게 된다. 다 읽어보지는 못하지만, 그래도 어떤 책이 출간되는지 대략적으로 알 수 있다. 그러다 『무연고』라는 책과 이생진 작가님에 대한 소개를 읽게 되었고, 아~ 이 책 읽어보고 싶다~ 했는데, 좋은 계기로 우리 집에 오게 되었다. 더 신기한 건, 『무연고』책이 도착한 같은 날, 다른 곳으로부터 『무연고』의 굿스인 노트가 왔다. 노트 안에는 이생진 작가의 산문집 『아무도 섬에 오라고 하지 않았다』 와 『무연고』, 『거문고』 그리고 그 밖의 미공개 스케치가 담겨있다. 많은 빈 공간인 노트들과 함께. 이 소중한 노트에 감히 나의 필체를 어찌 담으랴... 싶을 정도로 너무 고급 진 노트다. 횡재했다! 싶다.

이생진 작가는 올해 90살이 되신 예술인! 지금의 나이에도 시를 쓰고 스케치를 하고, 친구를 만나고 책도 읽고 음악을 듣는 멋진 훗남 이생진 할아버지. 이 책에 복선처럼 깔려 있는 '죽음'이 나름 더 현실적으로 다가왔던 건, 저자의 연세 때문이지 않나 싶다. "죽음의 준비는 미미하다. 준비해야지 해야지 하면서 뒤로 미룬다. 너무 가까이 왔는데 내 일이 아닌 것처럼 미룬다." -우선 중에서 
최근 읽는 많은 책들의 키워드가 '죽음', '질병', '이별' 이었다. 어찌 보면 문학에서 항상 다루었던 것들인데 내가 이제서야 깨달은 것일지도. 혹은 나 역시 나이가 들어가고 늙어가는 부모님을 바라보다 보니 위의 단어가 청소년 철부지였던 시절과는 달리 와닿는 것 같다. 이생진 작가의 많은 시들을 보며, 시아버님과의 대화가 생각이 났다. 서울에서 자식들 다 키우고 퇴직 후 시골로 귀농을 하신 46년생 시아버님. 그래서 자주 뵙지는 못했지만 종종 통화를 할 때면, 며느리가 전화를 자주 안 한다고 그렇게 섭섭해하신다. 마을에 사는 아무개도 죽고, 자신의 친구도 죽고, 자신도 얼마 안 남은 것 같아 외롭고 고독하고 쓸쓸하다고... 나한테 전화마저 안 오면, 모두 다 자신을 잊어버린 것 같아 외롭다고... 이 책을 읽고 나니, 시아버님께 좀 더 정성 들여 안부전화를 드려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자식들 모두 현재 정신없는 삶에 지쳐 낳아주시고 길러주신 부모를 생각할 틈이 부족하지만, 우리도 늙어가고 있고, 지금은 "나는 절대 자식들 귀찮게 안 할 거다"라고 다짐하지만, 세상 앞일은 모르는 법, 우리도 (건강이 허락하고 사고가 없다는 전재로) 언젠간 80세가 되고 90세가 될 수도 있기에... 이생진 작가님처럼 삼시 세끼 내 손으로 챙겨 먹고 사고 싶은 책을 사서 강아지처럼 안고 집에 오고, 책을 읽고 글을 쓰는 문화활동도 하며 지내다 죽음을 맞이하고 싶다. 이생진 작가님 말처럼 "죽음이 하라는 대로 조용히.(pg 48)" 아직 어리다고 죽음이 정말 멀리, 남의 일처럼 생각하고 생활하지 말자는 생각이 든다. 지금 이 순간이, 비록 고독하고 외롭지라도 살아있음에, 하고 싶은 일들을 할 수 있음에 감사하며 살아야겠다고 배운다.

인생은 짧고, 예술은 길다고요?
천만에! 이제는 인생이 길어야 예술도 길어져요.
90세까지 시를 쓸 수 있는 비결은 건강입니다.
삼시 세끼 제 손으로 챙겨 먹고 설거지까지 해요.

남한테 의존하면 죽음이 점점 가까이 오는 법이지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