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홉 소리나무가 물었다
조선희 지음 / 네오픽션 / 2018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요즘 이런 책이 고팠었나 보다. 국내 작가가 쓴 미스터리 소설이라 더 정이 간다. 해외 소설의 번역이 아니라 한국인 정서 그대로를 담은, 작가가 의도한 바 그대로 독자가 읽을 수 있을 것 같은 기대감을 갖게 하는 책이었다. 처음 만나보는 조정희 작가의 미스터리 소설, <아홉 소리나무가 물었다>는 기대했던 것 그 이상으로 무섭고 재밌었다.

다 읽고 나면 무서움이 덜하지만, 작가가 묘사하는 사건들, 이야기 구성, 대화들이 주는 묘한 스릴이 있어 가슴이 콩닥콩닥 하게 된다. 도대체 무슨 놀이인 거야? 그것은 당최 뭐지? 어떻게 놀이를 끝낼 수 있는 거야? 대적할, 더 강한, 센 누군가가 누구라는 거지?
책을 한번 들면 내려놓을 수 없게 만드는 이야기였다. 끝까지 궁금해서 읽어야만 했던 책이었달까.

어린아이들이 그 놀이를 하다가 연서가 실종이 되었고, 사건은 경찰의 미결 사건으로 그친다. 그 후, 그 놀이에 참여했던 아이들은 흩어지고 도동 마을에 종목만 남는다. 아버지로부터 어머니를 지켜 주어야 하기 때문. 그러다 그 놀이를 했던 아이들은 성장하고 15년이 흐른다. 세월은 흘렀지만, 모두에게 그 공포심을 여전히 남아있다. 그 공포를 지닌 채 살아다 다시 '그것'이 찾아온다. '그것'이 찾아왔을 때, 작가의 묘사가 정말 리얼하고 소름이 쫘악~ 

이빨이라 불리는 가해자들로 인해 종목과 태이(나)의 친구인 재호가 자살을 하게 된다. 하지만 처벌은 미비하게 끝난다. 종목은 어떻게 해서든 복수를 하고 싶다. 그래서, 할아버지가 금기한 기록, 놀이에 대해 알고 싶어 들어가 수첩을 읽는다. 그리고 그 놀이가 다시 시작이 된다. 그때는 일이 이렇게 될지 몰랐겠지. 그리고 하나 둘, 놀이를 한 친구들이 죽는다. 

아홉 소리나무가 무엇을 물어보는지,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를 알려면 책을 내려놓을 수 없다. 
<아홉 소리나무가 물었다>의 탄탄한 전개와 섬세한 심리묘사, 상황 묘사의 매력에 빠지게 된다.
조선희 작가의 다른 책들을 이쯤 되면 찾아보게 된다. 앞으로도 기대되는 작가이다.



---

옛날에 폭우를 뚫고 들리는 정체불명의 나무 두드리는 소리가 있었다. 마을 사람들이 소리를 따라가보니 세 개의 발을 가진 까만 나무둥치 하나가 있었다. 처음엔 하나뿐이었는데 어느 날 하나가 둘이 되고 둘이 셋이 되어 마침내 아홉이 모였다. 밤마다 소리나무가 울리고 얼마 후 나무둥치들은 아홉이 여덟이 되고 여덟이 일곱이 되더니 마침내 처음 나타났을 때처럼 하나만 남았다. 그리고 어느 날 그 하나마저 사라졌다. 이는 나무가 제 발로 오고 간다는 뜻이었다. 아홉 개의 소리나무를 두드려 그것을 불러내는 놀이. 불려 온 그것은 자신을 두드려 깨운 자가 할 수 없는 일을 대신해준다. 그것은 앞코가 뾰족한 세 개의 검은 발을 가졌다. 그것을 크고 강하다. pg 50

재호를 죽인 놈들에게 복수를 해야 했다. 그러려면 그놈들을 대적할, 더 센 누군가가 필요했다. pg 5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