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리랜서 번역가 수업 실전편 - 호린의 프리랜서 번역가로 멋지게 살기 프리랜서 번역가 수업
박현아 지음 / 세나북스 / 2018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도움이 되는 듯 안되는 듯, 읽고 나서 살짝 애매한 책이다. 번역가란 직업에 대해 궁금해하던 차에, <프리랜서 번역가 수업>이란 전작을 만나고, 번역가의 삶을 살짝 엿볼 수 있었다. 박현아 번역가의 번역가로서의 실전편이 나온다기에 너무 기대를 했던 건지, 나에겐 다소 아쉬움이 남는 책이었다. 이유는? 사회 초년생이거나, 일본어를 염려에 두고 번역가를 꿈꾸는 사람에게는 도움이 더 될 수 있는 내용이 담겨 있어, 나는 사회 초년생도, 일본어를 할 줄도 모르는 독자였기에 나에게 살짝 애매한 책으로 자리 잡았다.

번역가로서 영업을 할 줄 알아야 한다거나, 번역가에게는 기술과 절실함이 필요하다는 내용이 사실 내게 필요한 내용이 아니었다. 나는 그럼 어떤 내용을 기대했던가? 사실 생각해보면 실전적으로 가이드를 해주기도 참 애매할 수 있는 분야인 듯싶기도 하다.
내가 가장 궁금했던 건, 번역을 할 때 어떤 프로그램을 사용하는지였는데, 이에 대한 궁금증은 풀렸다. 하지만 아쉬운 것은 다양한 프로그램들을 비교 분석하고 트렌드는 어떤지, 가격 면이나 업체들마다 선호하는 것은 무엇인지 등, 좀 더 구체적으로 안내해주었으면 좋았게지만, 이 또한 담겨있지 않다. 이 책은 번역가로서 실질적으로 어떤 자질이 필요한지에 더 논하는 책 같았다. 영업을 하라고 하는데, 어디다 영업을 하라는 거지? 검색창에 '번역회사'를 검색하고 찾아봐라~라는 조언이, 내가 사회 초년생이 아니라 그런지 엄청난 도움은 주지 못하였다. 이 또한 생각해보면, 번역회사들은 있다가도 없고 없다가도 생길 수 있기에 리스트를 넣는 것도 애매할 수 있겠단 생각에, 저자 입장이 되어도 보고, 독자로서 정보를 얻고 싶었는데 큰 소득을 얻지 못한 중간지점에서 책을 읽었던 것 같다. 특히 난 일본어는 하지도 못하는데, 일본어로 번역을 할 시 주의할 점등에 대한 내용이 많이 담겨 있어, 나에겐 큰 도움이 안 되었다. 하지만, 제2외국어가 일본어라면 또 혹시 도움이 도리 수도 있으려나?

예를 들어, 서울대학교에 들어가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지?에 대한 책을 집필하라고 하면 참 애매할 수도 있겠다. 교과서 위주로 공부했어요, 책을 많이 봤어요, 열심히 살았어요? ㅋ 따위의 말을 쓴 책을 받아보는 학생들이 정말 화가 날 수도 있기에. 

<프리랜서 번역가 수업 실전편>을 읽으며, 두 가지를 느꼈다. 호린의 프리랜서 번역가로 어떻게 사는지에 대해 살짝 엿볼 수 있다는 점, 그리고 역시 맨땅에 헤딩은 결국 해야 한다는 점이다. 번역가란 직업에 대해 매력을 느끼는 한편, 뭐든 쉬운 게 없구나~를 생각하게 되었다. 이 책을 읽고 난 후, 나에게도 변화가 왔다. 번역서를 많이 읽을 수밖에 없는데 예전에는 번역가에 대해, 이름도 제대로 읽어보지 않았었는데, 점점 번역가들의 활약에 존경심도 생겨, 책을 바라볼 때, 작가, 출판사, 그리고 번역가를 함께 보게 된다는 점이다. 그들의 수고가 아니었으면, 한국어 영어를 제외하고 다른 나라의 책들을 읽어볼 기회조차 얻을 수 없기 때문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