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시성 - 그녀 양만춘
홍남권 지음 / 온하루출판사 / 2018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역시 창의적인 결과물은 궁금함, 엉뚱함 그리고 실제 작업을 통해 이 세상에 나오는 것이란 생각이 들었다. '지은이의 말'을 읽으며 '나는 왜 작가의 같은 생각을 해본 적이 없지?' 란 생각이 들었다. <삼한지> 10권 시리즈를 재미있게 읽었던 적이 있다. 그 책을 통해 연개소문과 계백장군 등 굵직한 인물들은 기억이 나는데, 역시 나의 아둔한 역사 공부로 인해, 안시성도 양만춘도 이번 책을 통해 처음 접하게 되었다.

우선 최근 흥행에 성공한, 배우 조인성이 주연한 영화 "안시성"으로 인해, 안시성 싸움에 대해 궁금했었는데, 마침 소설로 출간이 되어 영화를 보기 전에 궁금한 마음에 읽어보았다.

서두에 창의적인 결과물에 대해 언급했는데, 작가 홍남권은 어릴 적 삼국사기를 읽으며 왜 온달 열전의 온달을 바보라고 그려놨는지, 평강공주는 왜 온달에게 시집을 갔으며, 온달이 죽고 평강공주는 어찌 살았지? 평강공주는 누구인가. 평원왕이 어찌 온달을 알고 있었는지에 대해 의문을 가지고 만약 양만춘이 여자는 아닐까? 란 상상 속 주인공으로 탄생하게 된다.

이 소설 속에서 안시성의 성주는 양만춘이고 그녀의 친할머니는 평강공주로 그려진다. 연개소문과 그의 맞수였던 당태종 이세민, 그리고 선의의 경쟁자였던 고구려 장수 양만춘, 그런데 그가 남자가 아니라 여자라니. 그래서 이렇게 중대한 역사적 사건에 업적을 남겼음에도 기록이 없고, 박지원의 열하일기를 통해 안시성 전투의 성주가 양만춘이라는 말 한 줄 남겨졌으니... 이런 상상의 나래를 펼치고도 남지... 근데 계백장군과 러브라인? 당최 양만춘은 누구인가??

<평강, 고구려의 어머니>란 소설도 매우 궁금해진다. 역사 속에서 빛나는 인생을, 업적을 남긴 여성들이 많았을지도 모른다는, 하지만 신분과 성별로 인해 역사 속에 묻혀버렸을지도 모른다는 생각을 하니 안타깝기도 하다. 조금이라도 기록이 더 남아 있었더라면, 오만 원 권에 새겨진 "신사임당"에게도 경쟁자가 생겼을 수도 있겠다란 상상을 해본다. 저자는 만약 진정 양만춘이 여자였다면 오만 원 권의 새 주인공이 되었을 수도 있지 않을까? 하셨는데, 난 여전히 오만 원 권의 주인공은 신사임당에 한 표를 주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