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대로 괜찮습니다 - 네거티브 퀸을 위한 대인관계 상담실 ㅣ 자기만의 방
호소카와 텐텐.미즈시마 히로코 지음, 황국영 옮김 / 휴머니스트 / 2018년 4월
평점 :
절판
재치있고 열정이 넘치는 사람들이 일할 것 같은 기분을 느끼게 해주는 "휴머니스트" 출판사에서 <이대로 괜찮습니다> 가제본을 받았다. 다른 출판사들과는 달리 뭔가 꽁냥꽁냥 작업을 하고 책을 너무 사랑하고 독자를 중요하게 생각하는 듯한 편지와 함께 포스트를 구경했다. 그래서인지 책 역시 너무 소중하게 다가온다. 우연히도 내게 지금 딱! 필요한 그런 책이었다.
읽으면 읽을수록 마음이 편안해는 책이다. 과격하게 끄덕거리게 만드는 내용이 담겨있고, 뭔가 내 마음을 알아주고 이해해주는 듯 조언 받는 기분으로 읽었다.
대인관계가 어려워 사실 사람을 많이 회피하며 사는데 이렇게 살아도 괜찮을 걸까? 란 의심을 가지고 있은지 오래, 이 책을 읽으며 작은 희망과 안도, 그리고 치유가 되고 있다는 걸 발견한다. 이 책에서 상담을 받은 결론은, 이렇게 지내도 괜찮다는 점이다. 대인관계가 어렵다 느끼거나 부정적인 생각들을 한다는 것은 나쁜 것이 아니고 지극히 정상적인 느낌 중 하나라고 조언을 한다.
내가 네거티브 퀸까지는 아니더라도 그녀가 하는 생각을 한 번쯤 나도 해본 적이 있다. 온종일 부정적인 생각만 하고 있지는 않지만 부정적인 생각이 나쁘다고 여겼는데 이 책을 보니 그저 감정의 일부분이라 받아들이게 되어 마음이 편해졌다.
이 책은 텐텐이라는 자칭 네거티브 퀸과 미즈시마 선생님의 상담하는 내용을 만화로 그려지고, 각 장마다 부연 설명을 통해 한번 더 제대로 정의를 내려주는 방식으로 구성이 된다. 또 한가지 특이한 점은, 일본책처럼 뒤에서부터 읽어야 한다. 이렇게 만들기까지 거쳐야 했던 과정을 알게 되었는데 마냥 우겼다. 시트콤 같은 느낌을 줬달까. 이 출판사에서 일하면 재미겠다! 한 생각을 처음으로 하게 해준 휴머니스트 이었다.
나는 질투가 많은 편이다. 질투를 하면서도 이런 내가 참 많이 싫었다. 질투가 많아 부모님께 더 사랑받으려고 공부를 열심히 했던 것 같고, 연봉이 더 높은 직장으로 취업을 했던 노력을 했었다. 결혼 후, 직장을 그만두고 나만 커리어를 희생하고 육아에만 전념을 해야 하는 상황이 싫었고 그래서 그 미움이 고스란히 시댁과 남편에게 향했다. 그리고 세월이 지나 남편의 직급이 올라가며 월급이 더 많아졌음에도 그런 위치에 있는 신랑이 질투 나고 미웠다. 다른 동기들은 여전히 회사를 잘 다니는데 왜 나만 이러고 있을까? 그래서 잘 나가는 동기들이 질투 나고 난 한없이 작게 느껴지고 그래서 아마 더욱더 동창회 참여를 안 하는지도. 이런 부정적인 마음은 여전히 앙금으로 남아있다. 정말 이대로도 괜찮은 걸까?
그러다 자녀가 초등학교에 입학하면서 나에게 새로운 국면의 문제가 발생했다. 새로운 학부모들과 친분관계를 맺어야 하는데 방법을 모르겠다. 겉돌기만 하기에 시간 낭비 같았고 사람들과 어울리는 것도 어렵고 목적을 갖고 만나는 모임 같아 순수성도 없어 보였다. 사실 딱히 할 말도 없는 처지여서 모임이 있다는 소식만 들어도 머리가 아프다. 결국 두 번 참석하곤 바쁘다는 핑계로 연락을 두절했다. 또다시 새 학기가 되어 새로운 반이 형성되었다. 동일하게 새로운 모임의 날짜가 잡혔다. 가야 하나 말아야 하나를 계속 고민하던 중, <이대로 괜찮습니다>를 만났다. 처음 만나는 사람과 꼭 처음부터 친해지려고 하지 않아도 된다는 조언을 들었다. '만나다 보니 친해지고 싶네 하는 생각이 들면 그때 친해지면 된다'라는 너무 당연한 얘기 같지만, 왜 그렇게 생각을 못했지? 란 생각이 들었다. 커뮤니케이션을 잘한다는 것은 친하게 지낼 사람과 그렇지 않을 사람을 잘 구분한다는 것이라고 한다. 마음이 한결 가벼워졌다. 모임에 가서 너무 열심히 잘 어울리려고 노력하며 스스로에게 스트레스를 주지 말고 친하게 지낼 사람을 잘 구분하는 안목을 넓히자는 마음가짐으로 가야겠다. 내일 있을 모임이 예전보다는 덜 부담스럽게 다가왔다.
커뮤니케이션을 할 때 상대방이 투덜 될 때가 있다. 그때 부담스럽게 느끼는 이유는, 심리적인 압박을 느끼게 되기 때문이라고 한다. '난 너무 못생겼어.'라고 말을 한다면, 듣는 사람은, "아니야, 넌 예뻐"란 말을 암암리에 강요하게 되기에 그 관계에서 어떤 말을 해줘야 할지 고민하게 되고 그로 인해 심리적 부담을 느끼게 된다는 것이다. 이는 '속박'이라는 이름의 폭력이라고 한다. 그래서 커뮤니케이션을 할 때, 상대방에게 심리적 부담을 덜 느끼게끔 대화를 하는 것이 현명하다. 예를 들어, "난 너무 못생겼어. 배우 전지현 씨는 그렇게 다 가졌는데, 난 이쁘지도 않다. 너무 질투나." 그러면 초점이 나에서 살짝 배우 전지현 씨로 우회가 되어 대화가 한층 덜 부담이 될 수 있다고 한다. 그렇게 생각해본 적이 없었는데, 왜 내가 다른 이들과 대화를 하며 심리적 부담을 종종 느끼게 되며 대화 후에 오는 피곤함을 주체 못 했는지 알 것 같다. 내가 사랑하는 사람들에게도 쓰윽 이 책을 선물해서, 나와 비슷한 커뮤니케이션 코드를 맞추어야 할 것 같다는 생각부터 들었다. 이는 내가 가장 친하게 지내는, 배우자, 부모, 절친이 먼저일 듯싶다.
너무 귀여운 텐텐 씨의 이야기 상담을 들으며 너무 나와 비슷하다는 점에서 놀랐다. 그녀의 표정 역시 압권이다. 내가 그동안 고민하는 내용을 상담을 받고 있노라니 역시 나만 느끼고 생각하는 점이 아니구나를 새삼 느끼게 된다. 상상 카운셀링을 받으며 점점 치유되는 나 자신을 보게 된다. 나의 문제점도 알았고 치유 방법도 알겠고, 무조건 괜찮다는 말이 아닌 구체적인 해결책을 제시하는 부분도 좋았다. 남편에게 삐지는 일이 있으면 보통 난 침묵을 무기로 사용하는 편인데 이건 괴리감만 더 벌어지게 하는 것이니 이것만은 하지 말아야겠다란 생각이 든다.
누구나 대인관계 속에서 살아간다. 현명한 관계를 위해 나를 먼저 돌아보고 이대로도 괜찮다며 인정하고 토닥여보자. 자기긍정감이 높아지고 좀 더 평온한 삶을 살수 있기 위한 마음치유를 <이대로 괜찮습니다>를 통해하는 건 어떨까?
'남들도 완벽하진 않겠지. 각자의 사정으로 힘들어하고 있을 거야'라는 시각을 가지면 타인에게 더 따뜻한 사람이 될 수 있습니다. 다른 사람에게 짜증이 날 때 '아, 저 사람에게도 내가 모르는 사정이 있어서 저런 식으로밖에 못 하나 보다'하고 생각하면 비난하는 마음도 잦아듭니다. 그러면 더불어 자기 긍정감도 높아질 거예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