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인 없는 방
김준녕 지음 / 렛츠북 / 2018년 3월
평점 :
품절


최근 읽어본 소설 중 가장 고민을 많이 한 책인 것 같다. 단편이었기에 짬짬이 읽으면서 이 작품에 대해 어떤 서평을 써야 하나를 염두에 두며 읽었다. 이 책을 읽고 있으면 한없이 가라앉는 나의 기분을 발견한다. 상실과 결핍에 대한 직간접적인 이야기들이 8개의 단편소설로 담겨있는데 한 편 한 편 읽고 나니, 난 과연 무슨 이야기를 읽고 있는 거지? 란 생각이 들기도 했다.

보통 소설을 읽으면, 그 소설에 등장하는 인물들, 상황들 등에 대해 생각을 하며 꼬리에 꼬리를 물며 소설에 대한 호불호가 갈린다. <주인 없는 방>은 읽고 있는 내내 오히려 난 엉뚱한 생각을 하였다. 그것은 바로 '창조란 무엇인가?'이다. 김준녕 작가는 이 이야기들을 통해서 말하려는 것이 무엇이며, 소설을 쓰는 작가의 마음은 어떤 것일까?를 생각하게 되었다. 소설은 무엇을 다루고 있으며, 창조된 이야기에 대해 내가 무어라 어떻게 논할 수 있을까? 난 이 책을 통해 무엇을 얻으려 하는가? 재미가 있다 없다, 잘 쓰인 글이다 아니다를 떠나, 창의란 무엇일까? 어떤 가치를 두고 소설을 읽어야 하는 것일까에 대해 왜 더 고민이 되었을까...

세상에는 수많은 이야기가 있다. 그 많은 이야기를 다 듣기엔 한정적인 시간으로 인해 불가능할 것이다. 그런데 이야기를 두고 좋다 나쁘다고 이진법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는 없을 것 같다. 그냥 이 책은 나에게 이런 생각을 가져다준 책이다.

'밥 좀 먹어.' '누워있지만 말고 운동 좀 해'
이런 말들이 대표적으로 아내가 나에게 하는 말들이었다. 데이트를 시작한 시기부터 나는 아내의 이런 표현들이 싫었다. 사랑이라는 것을 정확히 정의를 내리기가 힘들지만 상대방이 원하는 바를 이루게 도와주는 것이 사랑의 큰 속성 중 하나라 생각했다. 내가 아내에게 원하는 것은, 이를테면 어머니로서의 책임과 의무를 다하는 것과 같이 대체로 기본적인 것들이었지만 아내의 말 속에서 나에게 바라는 것은 너무나도 많아 보였다. 그런 압박이 나에게 더 이상 풀 수 없는 족쇄가 되어버린 것 같았다. pg 63 <크리스마스트리 중에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