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들이 말하지 않는 23가지
장하준 지음, 김희정.안세민 옮김 / 부키 / 2010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나쁜 사마리아인'으로 우리에게 다른 시각으로 세상을 특히, 경제와 정치를 배운대로만 보면 안됨을 알려준 장하준 선생의 2010년 저작이다. 책 제목에서 전문가(?)들의 손길을 받은 듯 느껴진다. '나쁜 사마리아인'이라는 전작의 제목에서 느껴지던 아웃사이더 적인 느낌이 전혀 느껴지지 않고 우리가 서점에서 쉽게 잡고 쉽게 실망하던 가벼운 느낌의 제목으로 다시 찾아왔다. 

장하준 선생은 여전히 신자유주의 경제가 범 지구적으로 인간사회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 가를 조목조목 따져서 그들의 주장을 반박한다. 그들이 말하는 '파이' 이야기나 '트리클 다운' 이야기등이 현실과 얼마나 동떨어진 환타지인가를 고발한다.  

필자처럼 다소 진보 성향의 사람들이 아니라면 현재 주류와 다른 이야기를 하는 사람들의 이야기에 귀를 기울이기 쉽지 않다. 워낙에 유명한 사람이니 그의 주장에 동조하던 반대하던 읽어나 보자 할 수는 있지만 그 내용에 대한 찬반이나 이해는 다른 문제이다. 평생 크라제버거 만 먹어본 사람에게는  햄버거는 최악의 음식이라고 말하는 사람들을 이해하기 어려울 것이고  버스 요금이 100원이냐고 말하는 모 그룹회장의 막내 아들에게 왜 버스요금도 모르냐고 비판할 필요도 없다. 그들은 그들만의 세계에서 사는 사람들이다. 더 큰 문제는 대 다수의 사람들이 비판없이 정치인들이나 부자들이 이야기하는 것을 아무 생각없이 흘려듣고 비판없이 따라 다니는 동안 그들은 그들만이 잘사는 세상을 이미 만들어 버렸다는 것이다. 

신자유주의 경제학자나 그들을 추종하는 관료들은 이미 정립된 이런 주류의 이데올리기를 비판적으로 검증하기 보다 편승하면서 그들에게 떨어지는 빵 부스러기를 담았다. 사람들은 더 많은 돈을 쉽게 버는 방법을 찾아 몰리고 어떻하면 쉽게 살아갈까를 생각한다. 그러나 세상에는 공짜라는 것이 없다. 상식보다 더 빨리, 더 쉽게 돈을 벌거나 일을 할 수 있다면 그것은 혁신이거나 거품이다. 올바른 생각을 가진 사람이라면 그것이 새로운 길인지 망하는 길인지 판단할 수 있겠지만 눈이 먼 사람에게는 구분이 어려울 것이다. 지금 처럼 경제전문가라는 사람들도 돈에 눈이 먼 세상이라면 그들보다 못한 일반인들은 더 더욱 정신을 바짝 차리고 살아야 하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