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도의 악몽 - 소설보다 무서운 지구온난화와 환경 대재앙 시나리오
마크 라이너스 지음, 이한중 옮김 / 세종(세종서적) / 2008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심장이 약하고 소심한 분이라면 권하고 싶디 않다. 인류의 악행과 그로 인한  암울한 미래. 그것도 우리가 이세상을 떠나기 전에 보게될 끔직한 현실을 증거를 조목 조목대가면 묘사해준다. 

 인류가 오만과 편견으로 스스로 생태계의 조절자임을 자처하고 이 대로 소비생활을 즐긴다면 100년만에 아침에 새가 울지 않고 바짝마른 나무가지에 바람이라곤 불지 않는 고요한 아침을 맞이하게 될 것이다. 200년만에 대 부분의 인류가 그들의 서식지 대부분을 잃어버리고 인구 몇 천만으로 고통스런 지구에서 삶을 이어갈 것이다. 

특히나 경제성장과 소비의 증진만이 삶을 윤택하게 하는 방법이라고 주장하는 미국, 중국 그리고 우리나라 같은 국제성장국가들이 이제 미망을 버리고 10년 앞으로 내다보아야 한다. 우리에게 절대적인 에너지인 화석 연료는 지난 지구의 역사중 일부 짧은 기간 동안 일부생물들의 사체가 아주 우연한 지질조건에서 만들어진 희귀한 물질이다. 이 광물을 정제한 연료들은 유공충과 고사리가 100만년에 걸쳐 흡수한 에너지와 이산화탄소를 단 1년만에 태워 소비하고 대기 중을 뿜어낸다. 휘발유 1l을 태우려면 유공충 사체 30톤이 필요한데 이를 야적장에 쌓아두면 작은 언덕 정도 된다.

또 원유 상태가 될 수 잇는 지질 조건은 매우 까다로와서 70년 대 이후 경제적을 채취가능한 유전이 발견되지 않고 있고 기존 유전도 생산량을 맞추기 위해 바닷물을 유정에 넣고 있다.(유산국들은 부인하고 있지만.  


 온난화의 끔찍한 미래를 우리는 몇년 전 프랑스와 스위스에서 보았고 극지방의 극심한 해빙은 지금도 일어나고 있다.
역사상 한 번도 허리케인이 일어난 적이 없는 남미가 태풍의 피해를 입고. 우리나라도 이제는 아열대 기후대로 진입한 것을 느낄 수 있다. 대 부분의 비가 하루 이상 내리지 않고 같은 시내에서도 이리 저리 옮겨 다니며 금세 날이 개인다. 동남아시아에 흔희 보는 '스콜'이다. 여름 가뭄의 해갈에 도움이 안되는  비이다. 

언제까지 발전 발전하면서 삽질만 할 수 없다. 우리의 손자들은 이 땅에서 살 수 없을지 모른다.
해운대는 영화가 끝나고 다시 물이 빠졌지만 서서히 알지도 못하게 잠겨가고 있고 점점 강력해지는 태풍은 매년 해안을 쓸어 버릴 것이다.

 

당장에 삽질을 그만하고 차량 댓수를 늘리지 말고 운행을 줄이며, 연비를 높여야 한다,
소비를 줄이지 않으면 우리대에 파산할 정도 취약한 것이 지구의 경제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