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느린 학습자의 사회성 - 친구 사귀기부터 건강한 SNS 활용까지
박찬선 지음 / 이담북스 / 2025년 7월
평점 :
아기는 태어남과 동시에 공동체를 경험하게 된다. 최소 1명에서 그 이상까지. 요즘은 핵가족화 되어 있기에 같이 어울리는 숫자가 적다. 그러다 보니 양육자들은 어려서부터 아이의 발달은 물론 사회성을 위해서 가족 외의 사람들을 만나는 자리를 경험시켜 준다. 그만큼 사회성은 한 인간이 살아갈 때 없어서는 안 될 필수 요소이다.
돌봄교실에서 만나는 아이들 중에 친구들과 잘 어울리지 못하고, 때로는 동생들에게까지 냉대를 받는 아이들을 만날 수 있었다. 친구들과 어울리고 싶어 근처에서 서성이고 어렵게 용기를 내어 ‘같이 놀자.’고 해보지만, 받아들여지지 않는 모습이었다.
문제는 학교마다 학급마다 이런 친구들이 1-2명 씩은 있다는 것이다. 이는 사회와 동떨어져 고립되는 인구가 늘어나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지표이기도 하다.
눈치가 없어 또래와 어울리는 것이 어렵고, 상황에 맞는 대응이 어렵고, 새로운 것을 배우는 것도 쉽지 않아 사회 생활에 어려움을 겪는 사람들. 이런 사람들을 경계선 지능, 느린학습자라고 부른다.
경계선 지능은 IQ 70-84 정도의 인지능력을 가진다. 처음에는 학습능력, 이해력이 떨어지는 정도로만 인식하지만, 사실 더 큰 문제는 사회성이 결여되어 있다는 점이다.
경계선 지능은 지적장애와는 결을 달리 한다. 겉으로는 특별한 문제점을 발견하지 못한다. 그래서 지원, 배려에 있어 소외되어 있는 것이 사실이다.
말 그대로 느린 학습자다. 느린 학습자는 또래 친구들보다 조금 느린 속도로 자신의 역량을 키워간다. 문제는 사회성에 있어 어려움을 겪는다는 것이다. 사회성은 태어나자 마자 장착되는 것이 아니다. 그러나 성장 과정 속에서 조금씩 인지할 수 있고, 교육을 통해 발달 시킬 수 있다. 그런데 느린 학습자들은 이것이 자연스럽게 생겨나지 않고, 교육에 대한 효과도 즉각적으로 나타나지 않는다.
「느린 학습자의 사회성」은 경계선 기능 전문기관인 ‘연아혜윰의’의 박찬선 대표가 쓴 느린 학습자들의 사회성을 돕는 실용서이다.
박찬선 대표는 앞서 「경계선 지능과 부모」, 「느린 학습자의 공부」, 「느린 학습자의 문해력」 등의 저서를 통해 느린 학습자의 교육에 대해 전파한 바 있다.
느린 학습자들이 그들만의 세상에서 나와 사회화가 되고, 각자의 역량을 가지고 사회에도 공헌할 수 있도록 끊임없이 노력하며 교육하고 있다.
이번 책은 어떻게 만들어진 것일까?
느린 학습자들이 사회성을 키워야 하는 것을 알겠는데, 도대체 사회성이라는 것이 뭐지?
그것은 타인에게 맞춰주는 것인가?
눈치 없고 자기중심적이라고 취급되는 느린 학습자들이 그 성향을 버리고 타인을 무조건 배려하면 사회성을 키워진 것인가?
저자는 오랜 고민 끝에 사회성이란 ‘나를 이해하는 것에서 출발해야 한다’는 결론을 내게 되었다고 말한다. 자신이 어떤 사람인지 이해해야 관계를 맺어갈 수 있기 때문이다.
여기에 하나를 더한 것은 SNS이다. 변화하는 세상 속에서 SNS는 느린 학습자들에게도 열려진 환경이다. 그러므로 이들이 온라인 세상에서 맺을 관계와 사회성을 어떻게 발전시켜야 할지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있다.
여러 가지 사례를 들어가며 가정에서 아이와 대화를 할 때의 예시문은 물론, 특별히 신경 써서 교육해야 할 부분들까지 담아냈다.
이 책은
📚우리 아이는 왜 이렇게 눈치가 없을까, 사람 노릇이나 제대로 할 수 있을까 고민하는 느린 학습자의 양육자들이 읽어야 한다.
📚아이들을 교육하는 기관에 있는 교사라면 더욱 읽어야 한다.
📚핵개인화의 세태 속에서 우리 아이가 조금 더 나누고 배려하는 삶을 살아가길 바라는 양육자들이 읽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많은 사람들이 느린 학습자의 개념을 이해하여 안 그래도 위축되어 있는 그들을 무시하고 배제하는 것이 아니라 함께 품고 가는, 교양과 따뜻함이 넘치는 사회가 되었으면 좋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