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는 예쁘게 나와서 할 수 있는 게 없어요. 어릴 때는 그 느낌으로 드라마나 광고도 찍었지만 이젠 캐스팅되는 데 아무 도움이 안 돼요. (웃음)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늙으나 젊으나

    다들 '꼴값'들을 한다.(좀 심한 말인 건 안다)

    영어 때문이다.

 

    나이가 젊은 한 사람은 '대한민국에서 영어 꽤나 한다는 사람들에 나라가 이모양이 된

    책임이 얼마간 있다'라고 하질 않나

    그의  뒤를 이을 나이가 10년 정도 많은 한 사람은

    '영어와 국가경쟁력이 비례한다'라는 논리로 나라를 혼돈에  빠뜨린다.

    더불어 '영어 배우기만 해봐라'라는 엄포도 잊지 않는다.

 

    이런 일들이 발생하는 데에는 여러 가지 이유가 있겠지만

    내가 보기엔 다들 '한이 맺혀서' 그런 것 같다.

    한 사람은 정규교육 과정에서 주류에 편입되지 못한 데에 대한

   설움과  거기에서 살아남은 사람들에 대한 원망, 그리고 그들에 대한

   '터무니없는' 도덕적 우월감에서 오는 무시가 복합돼 있는 것 같고

   

    한 사람은 돈도 벌만큼 벌어봤고 사회적 지위도 올라갈 만큼 올라가봤는데

   (이제 그가 더이상 올라갈 데는 없다)

    단 한가지 외국에 나가면 '바보'가 된다는 그 세대가 공통적으로 갖고 있는 치명적인 약점에

   대한  '한풀이'가 정말 '터무니없는' 정책의 시도로 표현되는 것 같다.

 

   다들 한 마디씩 하기에 따로 뭘할 건덕지가 없는 사안이긴 하지만

   영어에 익숙해지고 싶으면 최소한 '방법의 실효성'에 있어서 고민을 깊게 할 필요는 있다.

   이 말도 안되는 정책 입안자들 가운데

   세계에서 가장 영어를 잘 하는 나라가 어디인지 아는 사람이 있는가?

   신문지상에 성공사례로 언급되는 싱가포르도 아니고

   그 반대의 예로 등장하는 필리핀은 더더욱 아니다.

   시험 좋아하는 한국 사람들을 위해 한 가지 확증을 덧붙이자면

   이 나라 사람들은 영국인보다 TOEFL점수가 더 높다.

  

   이 나라의 영어교육정책을 그대로 따라하자고 할 정도로 우둔하진 않다.

  다만 우리가 목표로 하는 데에 가장 효과적인 길을 찾기 위해서

   일단 우리가 발딛고 서 있는 구체적 현실을 잘 알아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고자 할 뿐이다.

   이게 새정부가 그토록 강조해 마지않는 바로 그 '실용주의' 아닌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인생을 전속력으로 달린다는 것,

   영화에서나 문학작품에선 가슴을 울리는 감동으로 다가오기 쉽지만

   막상 삶에서 실천하기라 여간 어려운 일이 아니다.

  그래도

  소위 '성공을 위한 조건'으로 첫째 둘째에 오기에 쉬운 항목인데

  나에게는 아직 요원한 일임에 분명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