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란의 책 읽기의 쓸모 공부의 시대
김영란 지음 / 창비 / 2016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여성 최초의 대법관이자 ‘김영란법‘의 주인공, 김영란이 말하는 인생의 책 읽기. 제목은 ‘책 읽기의 쓸모‘이지만 정작 김영란은 자신이 평생 해온 책 읽기가 그닥 쓸모있는 공부는 아니었다고 말한다. 지식과 정보를 얻기 위한 독서가 아니라 그저 마음 끌리는 대로 읽는 것이었으므로. 그녀는 문학을 많이 읽었다고 한다. 얼핏 법률가와 문학은 어울리지 않아 보인다. 그럼 그녀의 책 읽기는 무슨 쓸모가 있는 것일까?
법률은 보편적 정의와 기준에 의한 체계적인 질서의 세계이다. 다양성과 구체성을 잘 인정하지 않는다는 뜻이다. 반면 문학은 개개인의 개별성을 존중하고 정량적인 개량이 불가능함을 인정하며, 삶의 다층적 의미를 탐구한다. 그러므로 ‘문학적 상상력은 재판관이 자신 앞에 놓인 사건의 사회적 현실로부터 고상하게 거리를 두지 않고 풍부한 상상력을 겸비한 구체성과 정서적 응대를 바탕으로 현실을 철저하게 검토할 수 있게‘ 도와준다. 김영란은 이렇게 사회 약자들에게 공감하며 그들과 동일시하는 문학적 경험이 법률의 공적 합리성을 정립할 수 있다고 말한다.
그러므로 법률가 뿐만 아니라 누구에게나 문학은 필요하다. 인간을 이해하고 공감하기 위해서 말이다. 또한 그녀는 책 읽는 행위 자체가 하나의 명상이요, 수행이었다고 회상한다. 독서는 ‘무한한 세상 속을 여행하는 일이면서 나 자신을 찾는 일‘이기도 한 것이다.

이야기는 상상력을 자극할 뿐 아니라 세계의 구조를 반영하고 있기도 합니다.(...) 그래서 이야기를 들려준다는 것은 자신을 둘러싸고 있는 세계, 앞으로 자신이 살아갈 세계의 구조를 인식하고 이해하는 힘을 키워주는 것입니다. 그래서 특정한 지식을 가르치는 것보다 훨씬 더 튼튼한 기초를 놓아주는 것이죠.

누스바움은 소설의 특징으로 "인간의 개별성에 대한 존중과 질적인 것으로부터 양적인 것으로의 환원 불가능성에 대한 인정, 세계에서 개인에게 일어나는 일들은 모두 매우 중요하다는 인식, 그리고 삶에서 일어나는 사건들을 마치 개미나 기계 부품의 움직임이나 동작같이 객관적인 외부의 관점에서 보는 것이 아니라, 인간 존재가 자신의 삶에 다층적인 의미를 부여하듯 삶 속에서 우러나오는 시선으로 바라보는 묘사"를 꼽습니다.

저는 상상만이 세상을 바꿀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상상이 없으면 ‘이미 있는 것‘에 대해 공부하고 익히는 일밖에 남지 않을 테니까요. 물론 그것만 하기도 바쁜 세상이지만, 그러기만 해서는 세상은 바뀌지 않습니다. 무언가 더 나은 것에 대한 상상, 다음에 나아갈 행보에 대한 상상, 그것만이 세상을 바꿀 수 있는 것이죠.

책을 읽는다는 것은 책이 들려주는 이야기를 듣는 것입니다. 모든 책은 하나하나가 다른 이야기를 하고 있고, 또 같은 책을 읽더라도 각자가 듣는 이야기는 다를 수 있겠지요. 그러므로 책을 읽는다는 것은 무한한 세상 속을 여행하는 일이면서 또한 보르헤스의 말처럼 나 자신을 찾는 일이기도 합니다. 나에 대해 기록한 단 하나의 책을 찾는 것 말이지요. 달리 말하자면 세상을 통해서 나 자신을 찾는 공부라고도 할 수 있겠습니다.

사회의 ‘몫 없는 자들‘과 억압받는 집단에 공감하며 그들과 동일시하는 문학적 경험을 통해 그들의 눈으로 세상을 보는 법을 배우고 그 의미를 재성찰함으로써 공적 합리성을 정립해야 한다는 것이지요. 그는 이것을 ‘인간의 삶에 대해 소설가적 방식으로 생각하는 능력‘이라고 표현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