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의 원전 - 역사의 목격자들이 직접 쓴 2,500년 현장의 기록들
존 캐리 엮음, 김기협 옮김 / 바다출판사 / 2014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우리가 배운 역사는 비유하자면 잘 무두질된 가죽 같은 것이다. 수많은 가공을 거쳐 부드럽고 보기 좋지만, 그 동물의 삶이 어떠했는지는 보여주지 못한다. 인류가 겪은 일상과 사건들이 엄청난 두께로 퇴적되어 있으니 모든 것을 보여줄 수 없는 건 당연할 터. 그래서 역사는 큰 나무 한 그루를 통째로 깎아 만든 이쑤시개일 수 밖에 없다.
그렇기 때문에 기술된 역사는 절대로 현실을 생생하게 반영할 수 없다. 권력자의 의지 때문이든, 사상과 이념의 문제이든 상관없이 그게 역사 기술의 속성이기 때문이다. 이 시점에서 르포르타주가 중요해진다. 사건의 직접적인 목격자가 자신의 언어로 기록한 것. 그게 일기가 되었건, 신문 기사가 되었건, 자서전이 되었건. 거친 호흡과 주관적인 문체로 날 것 그대로의 진실의 느낌을 주는 것 말이다.
저자 존 캐리의 말대로 우리는 참혹한 사실주의 소설을 읽다가도 이것이 결국 그냥 이야기일 뿐이라는 사실에 안도할 수 있다. 하지만 나치대학살에 관한 생존자의 기록을 읽다가 그렇게 벗어날 수 있는 길은 없다. 제기된 사실들이 우리의 인식을 강제하고 우리의 반응을 강요하기 때문이다. 르포르타주는 현실을 가림없이 보여주어 독자에게 인간 존재에 대한 깊은 깨우침을 선사한다. 그런 점에서 이 책에 실린 180개 꼭지의 기록들이 갖는 울림은 때로 가슴을 저밀 정도로 대단하다.
다만 역자의 주관이 지나치게 강하게 들어가 있다는 점이 아쉽다. 역자 후기에서 자랑스럽게 밝히듯, 독자의 이해를 돕는다는 명목으로 원저에 있지도 않은 해설을 매 꼭지마다 멋대로 달아놓은 건 그렇다 치더라도, 저자의 주석을 맘대로 삭제하고 원저의 30% 정도를 한국 일반 독자에게 적합지 않다(...)는 이유로 아예 번역에서 빼버리는 만행을 저질렀다. 그리고는 나머지는 원서를 찾아보라고 친절히 안내까지 해준다. 아마 역자는 번역이 아니라 편역을 하고 싶었나보다.

프레인의 풍자는 기자가 겪는 고민에 초점을 맞춘다. 표준화된 표현과 진부한 문체가 서서히 쌓여 기다리고 있다가 손끝에 닿기만 하면 종이 위로 튀어나온다. 사실 글 쓰는 사람 누구에게나 주어져 있는 문제이기도 하지만, 기자의 경우 특히 심각한 문제다. 현실에 충실해야 하면서 또한 언제나 친숙하지 않게 보이도록 만들어야 하는 것이 그의 직업이기 때문이다. 기자의 눈은 언제나 처음 보는 것처럼 보아야 하고, 기자의 입은 언제나 처음 말하는 것처럼 말해야 하는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