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이름은 빨강 2
오르한 파묵 지음, 이난아 옮김 / 민음사 / 2004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한 건의 살인으로부터 이 소설은 시작된다. 오스만 궁정 화원의 세밀화가인 엘레강스가 우물 아래서 시체로 발견된다. 이 책은 그를 죽인 범인이 누구인지를 쫓는 추리소설의 형식을 갖지만, 그 속에서 예술과 종교에 대한 근원적 질문을 드러낸다. 젊은 시절 가 본 베네치아에서 초상화와 원근법으로 대표되는 유럽 화풍에 매료되어 유럽풍을 가미한 화집을 만들자고 술탄을 설득하는 에니시테 에펜디. 위대한 장인들이 이어온 화풍에서 한 치도 어긋남을 허용하지 않는 화원장 오스만. 유럽의 원근법은 인간의 시점에서 본 세상, 즉 인간이 중심인 세상을 그리는 것이다. 반면 조감도처럼 하늘에서 본 평면적 시선의 이슬람의 세밀화는 바로 신의 시선, 신이 본 세상을 그린다. 따라서 이 대립은 신과 인간에 대한 종교적 물음으로 치환된다. 여기에 에니시테 에펜디의 아름다운 딸 셰큐레와 그녀를 사랑하는 사촌 카라, 오스만의 제자들인 올리브, 나비, 황새들을 둘러싼 이야기가 전개된다.
세밀화는 신이 본 세상을 그리는 것이기에 화가 개인의 스타일은 허용되지 않는다. 화가의 서명은 물론, 붓 터치 하나 조차도 개성을 드러내면 안 된다. 개성을 억압받는 화가들의 내면엔 자기만의 스타일을 뽐내고 싶은 욕망과 전통과 종교에 위배된다는 죄책감이 충돌한다. 엘레강스의 죽음도 여기서 기인한다.
이 책은 1인칭 시점으로 전개되지만, 매 장마다 화자가 달라진다. 카라, 셰큐레, 올리브, 나비, 황새, 에펜디, 오스만은 물론이고, 이미 시체로 변한 엘레강스나 그림 속의 개, 나무 등도 화자로 등장한다. 이러한 시점의 전환이 독자에게 더할 수 없이 독특한 느낌을 선사한다.
김영하가 <보다>에서 말했듯, 오르한 파묵은 어릴 적부터 철저히 유럽 문화에 경도된 교육을 받았다. 당연히 젊은 시절엔 현대적인 포스트모더니즘 작품을 냈으나, 정작 세계적인 대가의 반열에 오른 것은 나이가 들어 터키의 전통을 다룬 작품을 발표하면서부터다. 이 책에서 다루는 주제도 오스만의 전통과 새로운 유럽 문화의 충돌 속에서 흔들리는 인간 군상이기에 <내 이름은 빨강>은 어찌 보면 오르한 파묵 개인의 일생을 바친 예술에 대한 고뇌이기도 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