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성당
레이먼드 카버 지음, 김연수 옮김 / 문학동네 / 2007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아내가 결혼 전에 산 <대성당>은 내내 우리 집 책장 한 구석을 차지하고 있었다. 사실 난 이 책 제목만 보고 중세 스페인 카톨릭을 소재로 한 어두운 역사 소설이 아닐까 제멋대로 단정짓고 있었다. 그땐 레이먼드 카버가 누군지 몰랐으니까. 그래서 이 책은 몇 년 동안 책장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신세였다.
그러던 어느 날 밤, 우연히 TV채널을 돌리다 보게 된, 김창완이 진행하는 <TV책을 보다>라는 프로그램에 이 책이 소개되었다. TV에선 우리 부부가 가끔 가는 상수역 일본 라멘집 주인이 이 책을 읽고 있었다. 그는 어머니와 함께 책의 한 구절을 소리내어 읽다가 눈시울을 훔쳤다. 턱수염을 기른, 산도적 같은 외모의 그가 이런 반응을 보인다는 게 좀 충격이었다. 대체 어떤 책이길래?
그래서 읽어 봤다. 미국 현대 작가 레이먼드 카버의 대표 단편집. 이 <대성당>에 수록된 대부분의 작품은 일상의 한 조각을 떼낸 듯한, 다소 밋밋한 전개를 보인다. 특별한 사건이 일어나지도 않고, 설령 뭔가 큰 일이 일어날 듯 긴장이 고조되더라도 바로 그 시점에 소설이 끝나버리는 식이다. 대신 카버는 등장인물들의 사소한 행동 하나하나를 매우 자세히 서술한다. 이러한 행동의 묘사를 통해 카버는 인물들의 심리변화를 간접적으로 드러낸다.
또한 사건이 제대로 전개되지 않고 소설이 끝나버리는 불친절한 작법은 독자로 하여금 그 뒷이야기를 마구 상상하게 만드는 효과가 있다. 그래서 여운이 아주 길게 남는다. <기차>의 주인공 미스 덴트는 노인과 여인을 어떻게 했을지, <체프의 집>에서 주인공과 웨스는 어떻게 되었을지 같은 걸 잠자리에 들기 전 문득 상상하게 된다.
가장 좋았던 단편은 <별것 아닌 것 같지만, 도움이 되는>이었다. 주인공 부부는 여덟 살 짜리 아들의 생일 파티를 위해 빵집에 아들 이름이 새겨진 케익을 주문한다. 생일날 아침, 아들은 등교길에 뺑소니 사고를 당해 뇌진탕을 일으켜 깨어나지 못한다. 아들이 입원한 병원의 담당의에게 아들이 조금 있으면 깨어날테니 걱정하지 말라는 얘기를 듣지만, 부부는 도저히 그 말을 믿을 수 없어 안절부절 못한다. 아들의 병실에서 전전긍긍하던 부부는 잠시 쉬기 위해 번갈아 집에 들리는데, 그 때 전화가 걸려와 아들의 이름을 언급한다. 병원에서 걸려온 전화인줄만 알고 미친듯이 병원으로 돌아오지만, 아들은 여전히 깨어나지 않았다. 집에 들러 잠시 눈을 붙이려고 할 때마다 아들 이름을 대는 전화는 계속 걸려오고 부부는 노이로제에 걸릴 지경이 된다. 곧 깨어날거라던 아들은 어느 날 아침 혈관폐색으로 허망하게 죽어 버린다. 슬픔으로 미칠 것 같은 부부에게 또다시 아들 이름을 대는 전화가 걸려오고, 마침내 부인이 아들 이름으로 생일 케익을 주문했음을 기억해낸다. 분노에 찬 부부는 한밤중에 차를 몰아 빵집으로 쳐들어가 무례한 전화를 걸어댄 주인에게 악다구니를 퍼붓게 되고, 한창 내일 팔 빵을 만들던 주인은 부부의 아들이 죽었다는 걸 알고 진심어린 사과를 한다. 그는 갓 구워낸 빵들을 부부에게 대접하면서 자신의 삶에 대해, 외로움과 중년의 무력감에 대해 이야기한다. 지치고 화난 부부, 며칠 동안 제대로된 식사도 못 했던 부부는 ˝꽃향기보다 좋은˝ 빵 냄새를 맡으며 커피와 함께 온갖 빵을 먹고 빵집 주인과 새벽까지 이야기를 나누는 장면에서 소설은 끝이 난다.
이 단편을 보고 전에 읽었던 <천사들은 우리 옆집에 산다>가 떠올랐다. 정혜신 박사는 아이를 잃은 세월호 유가족들을 치유공간 <이웃>에 불러 따뜻한 밥을 먹였다고 한다. 자식을 잃고 나서 밥을 먹는 행위조차 죄스러워하던 유가족에게, 마음 편히 먹을 수 있는 따뜻한 밥 한 끼는 큰 위안이 되었다고 한다. 유가족들이 진정 원한 것은 진심어린 사과와 따뜻한 밥 한 끼 같은 위로였을텐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