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사들은 우리 옆집에 산다 - 사회적 트라우마의 치유를 위하여
정혜신.진은영 지음 / 창비 / 2015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정신과 의사 정혜신과 시인 진은영이 세월호 사건을 계기로 사회적 트라우마를 치유할 방법에 대해 논한 대담집. 광주민주화운동 피해자, 고문 피해자, 쌍용차 해고노동자, 세월호 유가족 등 우리 사회가 안긴 트라우마를 겪고 있는 사람들을 어떻게 치유할 것인가를 말한다.
사람들이 착각하는 게 트라우마를 마음을 강하게 먹으면 극복할 수 있는 생채기 쯤으로 생각한다는 것. 정혜신은 트라우마를 자기 존재보다 더 큰 상처를 홀로 떠안고 견디며 살아갈 상처이지 극복이 되는 상처가 아니라고 말한다. 흔히들 `아픈 만큼 성숙해진다`라고 하지만, 트라우마는 `아픈 만큼 파괴되는 것`이다. 트라우마는 `삶의 전반적인 판이 다 깨어지는 것`이고 `인간이 통제 가능한 영역 바깥에 있는, 인간의 의지나 한계를 벗어나는 것`이다. 트라우마를 겪는 사람들은 피해를 입은 사건 당시에 일생의 시간이 멈춰 있기 때문에 `이제 그만 하고 돌아와라`라는 주위의 권유가 쓸모없다. 세월호 유가족에게 봄은 아이와 함께 했던 추억이 날아와 가슴에 박히는 `봄꽃이 총알이 되는` 계절인 것이다.
정혜신은 트라우마를 치유하기 위한 방법으로 치유 공간을 제안한다. 쌍용차 해고노동자를 위한 `와락`, 세월호 유가족을 위한 `이웃`을 세워 피해자들이 일상을 복원할 수 있도록 돕는다. 최신 기법을 동원해 심리치료를 하는 게 아니라, 따뜻한 밥을 먹이고, 뜨개질을 하고, 이야기를 나눌 수 있게 하여 이들이 죄책감을 느끼지 않고 서서히 치유될 수 있도록 돕는 것이다. 그리고 이렇게 치유된 사람들이 다른 트라우마 피해자들을 도울 수 있는 `상처입은 치유자`가 될 수 있게 돕는다. `상처입은 치유자`란 상처를 입어 본 사람이 그 상처를 치유받아 본 경험을 바탕으로 최고의 치유자가 된다는 개념이다. 고문 피해자들이 쌍용차 해고 노동자들의 치유를 돕고, 쌍용차 피해자들이 세월호 유가족을 돕는다.
트라우마가 제대로 치유되지 않으면 너무나 큰 충격 때문에 마음의 문을 닫고 타인의 고통에 공감하지 못하지 경향이 있다고 한다. 여기서 박근혜에 대한 흥미로운 분석이 도출된다. 박근혜는 아버지가 암살되는 거대한 트라우마를 제대로 치유하지 못해서 세월호 유가족을 만나도 그토록 냉담했다는 것이다. `나는 당신들보다 더한 고통 속에서도 나 혼자 힘만으로 여기까지 왔다. 당신들 정도의 고통이면 충분히 견딜 수 있는 거다. 엄살떨지 마라.` 이 정도면 트라우마를 이해하고 치유하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에 대해 더 이상 설명할 필요가 없을 듯 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