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죽이고 싶은 엄마에게
한시영 지음 / 달 / 2025년 4월
평점 :
권여선의 소설집 <안녕 주정뱅이> 속 에피소드에 등장할 법한 어린 여자아이가 있다. 그 아이의 엄마는 ‘술을 마시는 여자’였다. 잠깐 요 앞 슈퍼에 간다고, 아니면 누굴 좀 만나고 오겠다고 사라졌다 며칠 후 술에 잔뜩 취한 채 어디에선가 발견되는 사람. 그럴 때면 그 아이는 교복을 입은 채 인사불성인 엄마를 건사하러 간다. 아무렇지 않은 척, 무덤덤한 척. 하지만 그 아이는 사실 엄마가 죽이고 싶을 만큼 미웠다. 그 미움은 ’엄마가 저러는 건 나를 사랑하지 않기 때문에, 그리고 내가 사랑받을 만한 아이가 아니기 때문에’라는 자기 혐오의 언저리까지 가닿는다.
처음 책을 내는 작가가 어찌 이렇게까지 자신을 숨기지 않고 보여줄 수 있을까 의아했다면, 이게 그 답일 듯 하다. 작가 한시영에게 있어 이 책을 쓴다는 행위와 그 지난한 과정은 - 기독교인에게 이런 말을 해도 될지 모르겠으나 - 엄마에게 끊임없이 질문을 던지는 일종의 초혼(招魂)이며 마음의 응어리를 풀어내는 씻김굿이다. 그렇기에 내 안의 모든 것을 끄집어내어 하나하나 자세히 들여다 보아야만 했으리라. 엄마가 만들고 내 안에서 곰삭은 그것들을 차분히 응시해야만 했으리라.
어린 두 딸들을 품안에 가득 보듬는 행복과 알콜의 바다에 깊이 가라앉은 엄마를 돌보는 고단함 사이의 크나큰 간극. 나를 두고 왜 그랬냐고 엄마를 원망도 하고 미워도 했지만, 딸은 이제 엄마가 된 후 깨닫는다. 엉망진창인 것만 같았던 저 사람도 내 엄마가 되기 위해, 내 엄마로 살기 위해 무진 애를 쓴 거였구나.
한시영의 글에는 가만히 곱씹게 하는 힘이 있다. 문장 어느 하나도 건성으로 지나치지 못하도록 하는 힘. 괜한 기교를 부리지 않고 한 자 한 자 공들여 쓴 글만이 가질 수 있는 힘이다. 그의 글을 읽고 있노라면 다양한 기억이 눈앞을 스쳐간다. 그와는 조금 다른 시대, 다른 공간에 살았지만, 나 또한 유년의 시기에 겪었던 감정과 사건들이 말이다. 그렇게 소환된 내 기억들은 작가의 기억과 뒤섞이며 더 큰 공감을 이끌어낸다.
그렇다 해도 말이다. 누군가에게 한창 의지해야 할 나이에 누군가를 돌보아야 했던, 그 신산했을 삶의 무게가 얼마나 될지 나는 감히 상상할 수 없다. 사랑만 받아야 할 나이에 버겁기 그지 없는 책임을 어깨에 걸머져야 했던, 여리고 어린 아이가 품었을 복잡미묘한 감정을 나는 감히 말할 수 없다. 그래서 감히 나는 이 책을 읽어 보길 권한다. 직접 읽어 보지 않으면 상상도 공감도 할 수 없는 그녀들의 삶이 이 책에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