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걸어 다니는 어원 사전 - 모든 영어 단어에는 이야기가 있다
마크 포사이스 지음, 홍한결 옮김 / 윌북 / 2020년 9월
평점 :
언어는 끊임없이 움직이는 생물이라고들 한다. 흔히들 인간의 사유가 말과 글이라는 감옥에 갇혀 있다고 하지만, 이 감옥은 쉼없이 분열하고 복제하며 변이한다. 이런 면에서 언어는 진화론적 존재다. 8, 90년대의 TV 자료 화면을 유튜브로 다시 볼 때면 그들이 쓰는 단어와 어투가 그렇게 생경할 수 없다. 고작 30~40년 사이에도 이만치 바뀌었는데, 수 백년 시간의 지층에 퇴적된 언어는 대체 어떠할지 짐작도 가지 않는다.
이 책은 언어의 지층을 파내고 먼지를 털어내어 단어의 계보를 추적한다. 우리가 익히 아는 영단어와 관용구들의 유래가 무엇인지, 어떤 변천 과정을 거쳤는지 밝힌다. 마치 화석 발굴을 통해 생물의 진화 과정을 나열하여 보여줄 수 있듯이 말이다. 하지만 절대 학술적이거나 딱딱하지 않다. 오히려 무척이나 가볍고 유쾌한 책이다. hotdog가 어떻게 만들어진 단어인지, papillon과 pavilion은 무슨 관계가 있는지, ‘A rolling stone gathers no moss‘의 rolling stone은 구르는 돌이 맞는지, ‘The buck stops here‘는 대체 어디서 온 말인지. 이 책을 보면 이런 소소잡다한 재미난 이야기들을 구경할 수 있다.
이 책은 짧은 챕터 수 십개로 구성되어 있는데, 언어에 대한 책이니 만큼 첫 챕터는 ‘book‘과 관련된 단어들을 파헤치는 것으로 출발한다. 그리고 언어는 끝없이 이어지는 연결고리라고 웅변하듯 한 챕터의 끝과 다음 챕터의 시작이 곧바로 이어진다. 다소 억지스럽게 연결되는 챕터들도 없잖아 있지만, 여섯 다리만 건너면 세상 모든 사람과 아는 사이가 된다는 케빈 베이컨의 법칙처럼 전혀 관계가 없어 보이는 단어들도 서로에게 영향을 미쳐 새로운 의미를 만들어 낸다. 그런 고로 이 책의 제목은 <꼬리에 꼬리를 무는 영어>라고 짓는 게 더 적합하지 않나 싶다.
‘book‘에서 시작한 이 책은 수많은 단어와 숙어와 관용어구를 돌고 도는 기나긴 여행을 거쳐 다시 ‘book‘으로 돌아온다. 자기 꼬리를 물고 끊임없이 순환하는 전설 속의 뱀 우로보로스처럼, 저자는 언어가 영원히 생성하고 소멸하기를 반복하는 생명이라는 점을 강조하고 싶었으리라. 하지만 이 모든 걸 차치하고, 영어를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이보다 더 즐겁게 읽을 수 있는 책이 있을까 싶다. 위키백과의 링크를 끝없이 타고 들어가길 즐기는 나같은 사람이라면 더더욱 그럴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