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 도시 기행 1 - 아테네, 로마, 이스탄불, 파리 편 유럽 도시 기행 1
유시민 지음 / 생각의길 / 2019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는 유시민 선생을 좋아한다. 사물과 현상의 본질을 간명하게 꿰뚫는 놀라운 통찰, 적확하고 빈틈없는 논리로 상대를 무장해제 시키는 그만의 논법. 젋었을 적의 시퍼렇게 날선 결기는 세월이 지나 유순해졌지만, 노년의 지식인이 갖출 수 있는 여유가 더해지면서 누구도 따라오기 힘든 경지의 대중 지식인이 되었다. 그래서 나는 그를 ‘작가‘라기 보다 ‘선생‘이라고 부르고 싶다. 이 어지러운 시대의 참된 선생.

그런데 이 <유럽 도시 기행 1>은 썩 마음에 드는 책은 아니었다. 유시민 선생에게 여행기라는 장르가 그닥 잘 맞지 않는 옷 같다는 게 이 책을 읽으면서 든 느낌이었다. 여행기라 하면 무릇 여행지에 대한 정보, 그곳에서 만난 사람들과의 에피소드, 여행을 통해 느낄 수 있는 감정과 깨달음 같은 것들이 어우러지게 마련이다. 여행기의 목적이 무엇이냐에 따라 그 비중이 달라지겠지만. <유럽 도시 기행 1>에도 이 모든 것이 들어 있다. 그런데 그게 조화롭게 잘 섞여 있지 않은 게 문제다.

이 책에선 네 도시를 다룬다. 아테네, 로마, 이스탄불, 파리. 네 도시의 유명 관광지들을 소개하고 그 역사적 배경을 선생 특유의 ‘지식 소매상‘ 다운 필법으로 흥미롭게 펼쳐 보이는 대목들은 참으로 읽기에 즐거웠다. 이를테면 아테네 편에서 펠로폰네소스 전쟁과 제1차 세계대전의 유사성을 보여주는 장면이나, 로마 편에서 공화정의 포로 로마노와 제정의 콜로세움이라는 장소가 갖는 정치적 상징성의 대비를 설파하는 장면 같은 것들 말이다. 하지만 반짝거리는 건 거기까지였다. 선생이 도시를 여행한 동선이나 멋진 식당 등을 알려주고 명소에서 느낀 소회를 묘사하는 대목들은 지극히 평범했다. 유시민 다운 눈부신 재기가 느껴지지 않았다는 말이다. 차라리 이런 부차적인 내용은 과감히 생략했다면 어땠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김연수 라면, 아니 여행기에 능하지 않은 김영하가 썼더라도 이것보다는 훨씬 나은 책이 되었을 거라는 상상을 해본다. 내가 <유럽 도시 기행 1>을 읽고 나서도 이 책에 소개된 도시들에 가 보고 싶다는 욕망이 생기지 않았다는 건, 이 책이 여행기로서의 매력이 크지 않다는 반증이 아닐까. 여행기는 한여름밤의 꿈처럼 부푼 환상을 독자에게 심어주어야 하는데 유시민 선생은 그러기엔 너무 현실적이다. 그래서 소설가들의 여행기가 재미있는 건가 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