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끝의 버섯
애나 로웬하웁트 칭 지음, 노고운 옮김 / 현실문화 / 2023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의 부제는 ‘자본주의의 폐허에서 삶의 가능성에 대하여‘라고 되어 있다. 저인망 어선 마냥 지구의 자원을 깡그리 수탈하는 현대 자본주의의 폐해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는 책이라 오해하기에 안성맞춤이다. 하지만 이 책은 사실 어떠한 해결책도 제시하지 않는다. 단지 송이버섯이 어떻게 생겨나고 채집되며 상품으로서 유통되고 소비되는지를 추적한다. 그 과정에서 자본주의에서 탈출할 수 있는 실마리를 슬쩍슬쩍 보여주는 것처럼 보인다(그렇게 보일 뿐이다).

저자 애나 로웬하웁트 칭(지금부터는 애나 칭이라고 하겠다)은 인류학자이다. 일반적으로 우리가 알고 있는 문화인류학은 세계의 여러 문화를 비교연구하는 학문이지만, 사실 인류학에는 여러 갈래가 있다. 인류학이라는 게 인류에 대한 모든 것을 연구하는 광범위한 학문이니 당연한 이야기겠지만 말이다. 애나 칭은 포스트휴머니즘에 기반한 문화인류학자다. 포스트휴머니즘은 인본주의, 즉 인간중심주의에 대한 비판적 성찰에서 출발하는 이론이다. 이 이론에 의하면 문화란 인간과 비인간, 즉 동식물과 환경이 함께 구축하는 것으로 본다. 그래서 애나 칭은 인간이 아닌 송이버섯을 중심으로 이 책에서 논지를 전개한다.

그녀는 자본주의와 송이버섯을 이렇게 설명한다. 자본주의에 내재되어 있는 확장성은 다양성과 대비되는 개념이다. 근대 자본주의는 사탕수수 플랜테이션의 확장성에서 비롯되었다. 작물(사탕수수)과 노동(아프리카 출신 노예)들을 소외시키고 획일화하는 모델로 대규모의 농장 확대가 가능했고 이는 곧바로 산업혁명 이후 공장에 똑같은 형태로 이식되었다. 성공을 맛본 자본가들은 지구상의 모든 것을 이러한 확장을 통해 시장가치로 교환할 수 있다고 자신하게 되었다.

반면 송이버섯을 채집하는 것은 사탕수수를 재배하는 것과는 완연히 다르다. 송이버섯이 피어나는 숲에선 작물과 노동의 소외가 일어나지 않는다. 송이버섯은 소나무와 공생하면서 숲의 다양성에 기여한다. 또한 송이버섯 채집인은 플랜테이션 노동자들처럼 틀에 맞춘 규격에 의해 움직이지 않는다. 즉, 소외되지 않는다. 애나 칭은 송이버섯 숲이 자본주의의 확장성에 의해 폐허화된 잔재에서 태어났다는 아이러니를 발견한다.

인간과 송이버섯, 소나무, 그 외의 다양한 생물과 무생물이 엮어내는 ‘다종의 세계 만들기‘는 서로 간의 협력과 관계맺음에 의해 유지된다. 인간은 활엽수를 벌목하고, 그 자리에 소나무가 들어서고, 소나무의 잔뿌리는 송이버섯 균류의 집이 되며, 송이버섯 균류는 땅의 양분을 소화하여 소나무에게 제공한다. 이렇게 번성한 소나무 숲은 인간과 그외의 동식물에게 다양한 먹거리와 거처를 제공한다. 송이버섯이 다종의 얽힘에 기반한 ‘공유지‘를 만들어내는 셈이다.

하지만 이 책은 앞서 말했듯 포스트휴머니즘에 기반한다. 따라서 인류를 작금의 위기에서 구원하는 해결책을 제시하지 않는다. 아니 제시할 수 없다는 게 정확한 표현이겠다. 송이버섯의 공유지는 확장성이 없는 모델이기 때문이다. 애나 칭은 자본주의의 확장성 대신 송이버섯으로 대표되는 다양성을 주장하지만, 그렇기 때문에 송이버섯 모델은 전인류에게 보편적으로 적용되기 어렵다. 자본주의의 문제를 해결하거나 자본주의 자체를 대체할 수 있는 모델이 아니란 말이다. 그래서 이 책을 읽고나면 자그마한 허탈과 가벼운 절망이 밀려온다.

이 책을 더욱 읽기 어렵게 하는 건 애나 칭 특유의 낯선 언술이다. 그녀는 오염, 교란, 번역, 구제 등의 용어를 원뜻과 아주 다르게 재정의하여 사용한다. 독자는 이 용어들에 익숙해지기 전까지 혼란스러운 숲길을 헤매야 한다. 인류학과 생물학의 언저리 어딘가 쯤에서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