빌 브라이슨 발칙한 미국 횡단기 (리커버 에디션) - 세상에서 가장 황당한 미국 소도시 여행기
빌 브라이슨 지음, 권상미 옮김 / 21세기북스 / 2021년 5월
평점 :
품절


빌 브라이슨의 작품은 크게 세 갈래로 나눌 수 있다. 과학(거의 모든 것의 역사, 바디), 여행(나를 부르는 숲, 발칙한 유럽산책), 언어(발칙한 영어산책, 셰익스피어 순례)의 세 가지인데, 이 책 <발칙한 미국 횡단기>는 이 중 여행에 속한다. 대체 왜 그런지 모르겠으나 빌 브라이슨의 번역서 제목엔 대개 ‘발칙한‘이라는 수식어가 붙어 있다. 작가 특유의 비꼬는 듯한 투덜거림이 책에 잔뜩 묻어 있기 때문이 아닐까 싶은데, 이젠 좀 식상하다. 그의 작품 원제엔 발칙하다는 표현이 전혀 들어가 있지 않는데도 - 이 책의 원제도 <The Lost Continent>다 - 천편일률적으로 ‘발칙한‘이라고 제목을 따붙이는 그 안일함이 조금 괘씸하다.

‘세계에서 가장 황당한 미국 소도시 여행기‘라는 부제 그대로, 이 책은 빌 브라이슨이 어머니의 낡은 자동차를 빌려타고 그의 고향 와이오와 주 디모인에서 출발하여 남부와 동부, 그리고 서부까지 38개 주의 소도시들을 여행하는 이야기를 담고 있다. 청년기 이후로 줄곧 영국에서 살던 빌 브라이슨은 아버지의 죽음을 계기로 어릴 적에 매년 여름 아버지 차를 타고 가족여행을 떠난 기억을 되살리기 위해 다시금 길을 떠난다. 이번엔 아버지와 어머니, 형과 누나도 없이 홀로.

이 책엔 내가 어릴 적 외화를 통해 학습한 미국 중소도시들의 이미지가 그대로 투영되어 있다. 흙먼지 날리는 황무지를 관통하는 끝없는 직선도로, 정원과 차고가 딸린 똑같이 생긴 이층집들이 줄줄이 늘어서 있는 한적한 동네, 하릴없이 시골 바에 앉아 햄버거와 감자튀김을 먹어치우는 중년의 아저씨들과 껌을 씹으며 주문을 받는 웨이트리스들. 빌 브라이슨은 미국 중서부에서 중부와 남부, 동부를 거쳐 다시 서부까지 여행하지만, 이 광경들은 거의 변하지 않는다. 그래서 광대한 미국 대륙을 차 한 대에 몸을 싣고 여행하는 건 낭만이 넘치는 게 아니라 지극히 고단하고 지루한 단순노동에 가까워 보인다. 예전에 그랜드 캐년에 가는 길 위의 몇 시간 동안 조슈아 트리와 덩굴풀만 자라는 황야를 지났던 권태로운 기억이 있어서 더 그랬을지 모르겠다.

‘세계에서 가장 유머러스한 여행 작가‘라는 별명이 붙어 있는데서 알 수 있듯, 빌 브라이슨의 여행기는 대체로 유쾌하다. 하지만 이 <발칙한 미국횡단기>는 그리 유쾌하지만은 않다. 이 책이 처음 출간된 게 1989년인데, 그땐 PC라는 개념 자체가 없어서인지 빌 브라이슨의 조롱조의 문체가 지금보다 거칠고 덜 다듬어져 있다. 그래서 상당히 거슬린다. ‘관광객들은 모두 뚱뚱하고 옷을 등신같이 입는다‘고 깎아내리고, 루스벨트 기념관에서 떠드는 ‘할망구의 두 귀를 잡아 이마를 내 무릎에 깨 버리는‘ 상상을 하며, 카페에서 시끄럽게 말하는 여자를 ‘지저분하고 점잖지 못한 데다 엉덩이는 축사 문짝만‘하다고 묘사한다. 작가 본인도 이런 과격한 조롱의 대상으로 지목되지만, 그렇다고 해서 내 마음 속 불편함이 사라지지는 않는다. 단지 ‘80년대였으니까‘라고 한켠에 덮어둘 뿐이다.

빌 브라이슨은 미국을 가로지르는 이 여행 내내 그의 머릿속에서 그린 이상적인 타운 ‘모아빌‘을 찾아 헤맨다. 사시사철 쾌적한 날씨, 전통과 현대가 어우러진 건축물들, 풍요로운 사람들이 사는 작지도 크지도 않은 도시. 그는 처음 여행을 시작할 때 고향 디모인을 흥미로운 게 하나도 없는 지루한 동네라고 묘사하지만, 수많은 소도시를 거쳐 다시 디모인으로 돌아올 때 쯤엔 다시 ‘여기 살 수도 있겠다‘ 싶은 평온함을 느낀다. 그는 치르치르와 미치르의 파랑새처럼 고향에서 ‘모아빌‘을 찾은 것일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