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 이따위 레시피라니 - 줄리언 반스의 부엌 사색
줄리언 반스 지음, 공진호 옮김 / 다산책방 / 2019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요리를 즐겨 하는 사람이라면 부엌 주변에 요리책 한두 권 쯤 두고 있는 게 당연한 상식이었다. 요즘엔 블로그나 유튜브로 정리된 레시피를 보는 경우가 많으니 요리책을 사는 사람이 많이 줄었을 테지만 말이다. 그래도 요리책에 실린 사진을 보며 완성된 요리를 상상하고, 레시피를 충실히 따라가서 상상했던 맛을 비슷하게 구현해냈을 때 얻는 풍요로운 만족감이 우리가 요리책을 사는 이유가 아닐까.

하지만 이 <또 이 따위 레시피라니>에서 줄리언 반스가 말하는 바는 이런 요리책의 이상과 거리가 좀 있다. 스스로를 ‘부엌의 현학자‘(The pedant in the kitchen. 이 책의 영어 원제이기도 하다.)라고 칭하는 줄리언 반스는 요리책에서 늘어놓는 레시피에 대단히 불만이 많다. 레시피의 부정확한 계량, 애매모호한 표현, 레시피를 따라가도 제대로 만들어지지 않는 요리 등등. 200페이지도 안 되는 짧은 책이지만 줄리언 반스는 내내 요리책과 자신의 요리 실력에 대한 불평을 늘어놓는다. 이 책을 읽고 있으면 pedant를 왜 ‘현학자‘라고 번역했는지 슬슬 의문이 들기 시작한다. 영한사전에 실린 의미로는 현학자가 맞지만, 이 책에서의 줄리언 반스는 지혜로운 현학자가 아니라 grumpy한 불평쟁이에 가깝기 때문이다. 요리책의 저자, 식료품점의 점원, 각종 요리 도구, 프랑스 요리, 집에 초대한 손님, 심지어 자기 자신을 대상으로 투덜거리는 저자를 보고 있으면 재미있다기보다는 더불어 짜증이 차오른다.

음식은 기분좋게, 맛있게 먹어야 한다. 먹는다는 것은 그 자체로 영혼을 위로하는 안온하고 즐거운 행위이기 때문이다. 음식에 대한 책도 마찬가지. 우리는 맛있는 음식이 주는 안락하고 유쾌한 이미지나 소박한 음식이 주는 아련한 기억을 불러오길 원하지, 이렇게 먹다가 체할 것 같은 불평투성이의 글을 읽고 싶어하지 않는다. 그런 면에서 이 책은 영국식 유머라 치부하기엔 좀 고약하지 않나 싶다. 아무리 맨부커상을 수상한 소설가의 에세이라고 해도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