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과학자들 - 뇌의 사소한 결함이 몰고 온 기묘하고도 놀라운 이야기
샘 킨 지음, 이충호 옮김 / 해나무 / 2016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샘 킨은 <뇌과학자들>에서도 전작인 <바이올리니스트의 엄지>와 비슷한 수법을 쓴다. 특정한 인물들의 에피소드를 통해 자기가 말하고 싶은 소재 - <바이올리니스트의 엄지>에서는 그것이 유전자였고 <뇌과학자들>에서는 뇌였다 - 를 풀어내는 것 말이다. 탁월한 대중 과학 저술가로서, 그리고 뛰어난 이야기꾼으로서의 샘 킨의 역량은 의심할 바 없다. 당신이 뇌에 대해 설명해야 한다고 가정해 보자. 아마 대부분의 사람은 뇌를 부위별로 구분하고 각각이 어떤 기능을 갖고 있는지를 설명하려 하지 않을까? 쉬운 방법이지만 그만큼 딱딱하고 지루한 설명이 될 것이다. 샘 킨의 에피소드 중심 서술은 마치 소설을 읽는 듯 흥미진진하여 독자들이 쉽게 몰입할 수 있는 동기를 부여한다.

이 책의 등장인물들은 대개 큰 불행을 안고 있다. 뇌과학의 역사는 곧 뇌 손상의 역사이기 때문이다. 다양한 형태의 뇌 손상 환자들로 인해 두뇌에 대한 인류의 지식이 비약적으로 늘 수 있었다. 마상경기 중 부러진 창끝이 얼굴을 꿰뚫은 앙리 2세, 정신 이상으로 미 대통령을 암살한 찰스 기토와 리언 촐고시, 광산 폭발 사고로 쇠막대가 머리를 관통한 피니어스 게이지 등등. 그 외에도 익명으로만 알려진 다양한 환자들과 이를 연구한 뇌과학자들이 있었기에 우리는 불완전하지만 뇌가 어떤 식으로 작동하는지 어느 정도 알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이 책은 아직 완전히 규명되지 않은 여러 질문을 던진다. 인간의 마음은 어떻게 작동하는지, 욕망은 어디에서 오는지, 인간의 기억은 어떻게 저장되는지. 이 질문들은 고대부터 철학의 단골 주제였지만 뇌과학이 발전함에 따라 언젠가는 밝혀지지 않을까 기대한다. 철학의 오랜 의문이 마침내 과학에 의해 풀리는 결말을 상상한다.

좋은 책이지만 물론 단점은 있다. 에피소드 중심이라 책을 관통하는 주제를 찾기 힘들다는 것. 읽는 동안엔 무척 재미있다는 느낌이 들지만, 마지막 장을 덮고 나면 과연 작가가 말하고자 하는 바가 무엇이었는지를 말하기 어렵다. 사실 이 책의 아무 챕터나 펴서 읽어도 아무런 문제나 위화감이 없는 책이라 굳이 집중해서 읽지 않아도 된다. 그만큼 산만한 독서가 될 가능성이 높다는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