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방의 비극 - 중국 혁명의 역사 1945~1957 인민 3부작 1
프랑크 디쾨터 지음, 고기탁 옮김 / 열린책들 / 2016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에드거 스노의 <중국의 붉은 별>은 마오쩌둥이 이끄는 중국 공산당의 불멸의 이미지를 구축하는 데 막대한 영향을 미쳤다. 현대사의 신화가 된 대장정 끝에 도달한 옌안 해방구에서 스노는 마오쩌둥을 비롯한 공산당 지도부와의 인터뷰를 갖고 서구에 큰 파장을 불러올 <중국의 붉은 별>을 집필한다. 이 책에서 중국 공산당은 극도로 부패한 국민당에 맞서는 해방과 혁명의 기수로 비춰진다.

프랑크 디쾨터의 <인민 3부작>은 그렇게 각인된 중국 공산 혁명의 진실을 파헤친다. 2차 대전에서 일본이 패망하고 물러간 중국에서 공산당과 국민당이 대륙의 패권을 놓고 제2차 국공내전을 벌인 것은 잘 알려져 있지만, 공산당이 싸움에서 이기기 위해 무슨 짓을 했는지는 그간 잘 알려져 있지 않았다. 인민해방군은 도시를 봉쇄하고 무수한 민간인을 희생시켜 승리를 얻어내는 전략으로 만주부터 상하이까지 중국 전역을 초토화했다. 당시 마오쩌둥과 공산당 핵심 인물들이 보여줬던 극심한 인명 경시 풍조는 이후의 대약진운동이나 문화 대혁명에서도 그대로 이어진다.

국민당의 패퇴로 전쟁은 끝났지만 중국 인민들의 고난은 이제부터가 시작이다. 토지개혁 과정에서 최소 150만~200만 명의 인민이 희생되었으며 반혁명 세력의 낙인이 찍힌 수없이 많은 사람들이 숙청되었다. 소름끼치는 점은, 이들이 진정 죄가 있어 제거된 것이 아니라 당에서 각 성(省)마다 희생자 비율을 할당했다는 것이다. 바야흐로 대공포 시대가 도래했다. ‘누구도 자신은 비난받을 이유가 없다는 생각으로 안심할 수 없다는 점에서 예측 불가능한 본질이야말로 공포 정치의 가장 근본적인 특징이었다‘는 이 책의 문구가 이 시대의 참혹하고 서늘한 광기를 잘 나타내고 있다.

이 책에서 다루는 1945~1957년 사이엔 중공군의 한국전쟁 참전이 있었고 소약진운동이라 불린 사회주의 고조(高潮)가 있었으며 백화제방운동이 있었다. 이 거대한 사건들은 인민을 위한 것도, 당을 위한 것도 아니었다. 심지어 소수의 당 원로를 위한 것조차 아니었다. 모든 것은 오직 마오쩌둥 개인의 권력 유지를 위해 일어났고 불타올랐다. 이 과정에 헤아릴 수 조차 없이 많은 인민들의 생존권이 짓밟히고 하루살이 마냥 희생되었음은 물론이다.

이 책이 중국공산혁명의 참화를 적나라하게 드러내지만, 저자 프랑크 디쾨터는 이 책의 근거 대부분을 중국 공산당 기록 보관소에서 가져왔다. 적어도 진실을 호도하는 책은 아니라는 의미이다. 그렇기 때문에 이 책이 주는 충격의 강도는 남다르다. 당의 공식 기록이 이 정도인데 실제로는 어떠했을지 불보듯 뻔한 일이니까.

공산혁명의 초기에 일어난 Collateral Damage라고만 치부할 순 없는 게, 이후의 시대로 갈수록 인민들의 희생이 커지기 때문이다. 그 내용은 인민 3부작 중 2부인 <마오의 대기근>에서 다루게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