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시, 책으로 - 순간접속의 시대에 책을 읽는다는 것
매리언 울프 지음, 전병근 옮김 / 어크로스 / 2019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매리언 울프는 전작인 <책 읽는 뇌>에서 원래 독서를 하도록 만들어지지 않은 인간의 뇌가 어떻게 독서라는 행위를 수행하고 그러기 위해 뇌가 어떻게 재조직 되는지를 말했다. 또한 특정한 아동기에 책을 읽어야 하는 이유와 그 방법을 어떻게 가르쳐야 하는지를 설파한 바 있다. <다시, 책으로>로 돌아온 그녀가 다루는 주제는 디지털 시대에도 독서가 유효한 이유, 아니 책을 반드시 읽어야만 하는 까닭이다. 인터넷에 방대한 정보 - 현대인들은 매일 디지털 기기를 통해 무려 34 테라바이트의 정보를 소비한다 - 가 넘쳐나는 지금, 아이들의 뇌는 점점 텍스트를 깊이있게 읽는 능력을 습득하지 못하고 있다. 그저 손가락만 까딱해도 언제든 원하는 정보를 얻을 수 있게 되면서, 그리고 그 정보의 양이 너무나 많아지면서 뇌는 정보를 빠르고 가볍게 캐치하는데만 익숙해진다. 그 반동으로 우리는 획득한 정보를 바탕으로 깊이 사고하는 방법과 타인의 감정을 이해하는 방법을 점점 잃어가고 있다.

이제 지식의 원천을 인터넷에 의존하게 되면서, 예전엔 책을 통해 우리 내부에 축적했던 고유한 배경 지식이 점점 줄어들고 있다. 지식을 뇌에 저장하면서 동시에 체계적으로 구조화 하는 것이 아니라 저 멀리의 클라우드에 단지 쌓아 놓고만 있는 것이다. 생각해 보라. 궁금한 게 있으면 구글이나 네이버에서 간단히 검색할 수 있지만, 우리는 대부분 검색한 첫 페이지를 통해 얻은 정보 이상을 찾아보려 하지 않는다. 이는 우리가 매일 얻는 지식들이 천편일률적으로 획일화되는 현상을 낳고, 그것만이 진실이라고 믿으며 다른 견해를 배척하는 결과를 만든다. 또한 인터넷 상의 지식은 집단 지성으로 보완되기 보다는 댓글이나 ‘좋아요’ 등의 행위로 인해 배타적으로 변질되기 십상이기 때문에, 집단적인 자기 확신이 되먹임되어 진실과 거짓을 구분하는 능력을 상실하게 한다.

이 때문에 저자는 디지털 매체의 범람이 민주주의의 위기를 불러올 수 있다고 주장한다. 사고하는 능력을 외부에 위탁하게 되면서, 마치 종교와 미신에 사로잡힌 고대의 인류와 비슷한 상태가 되는 것이다. 너무나 많은 정보, 너무나 많은 선택지는 오히려 우리로 하여금 사고와 통찰이 필요없는 정보에 의존하도록 만들고, 그러면서 점점 더 많은 사람들이 자신들이 이전에 생각했던 방식과 내용에 부합한다는 이유만으로 편향된 정보만을 선택하게 된다. 그리고 사람들은 이렇게 선택한 정보를 토대로 자신이 무언가를 안다고 생각하게 되며, 좀 더 깊이 성찰할 동기, 자신과 다른 관점들을 취하게 될 동기를 잃어버린다. 이러한 연쇄작용은 개인의 분석력과 판단력을 마비시켜 여론에 쉬이 휩쓸리게 만든다. 당장 지금의 대한민국만 해도 포털 뉴스와 카톡과 커뮤니티에 떠도는 거짓 정보로 인해 위기를 맞고 있지 않은가.

하지만 매리언 울프는 우리가 디지털 매체를 배척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고 말한다. 그렇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 저자는 아이들이 필요에 따라 책읽기와 디지털 읽기를 병행할 수 있는 교육 방식이 도입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하지만 이 책에서 매리언 울프가 소개하는 교수법은 아직 초기 연구 단계로 보이며 실질적인 대안이 될 수 있을지는 꽤 의심스럽다. 이 책의 주장과는 상관없이 이제 인류가 깊이 읽는 능력을 다시 복원하기는 힘들지 않을까 하는 비관이 내 마음 속에서 고개를 쳐든다. 개인적으로 최근에 긴 텍스트를 읽는 게 힘겨워졌는데 그 이유가 단순히 나이가 들어서라고 생각했었다. 하지만 이 책을 읽고 나니 내 뇌도 이미 디지털 읽기에만 익숙해져서 그런 게 아닌가 싶다. 하루의 많은 시간을 노트북과 아이폰, 유튜브와 OTT로 소비하게 되면서 말이다. 이걸 깨달았다고 해서 지금보다 책을 더 많이 읽고 디지털화된 정보를 멀리하는 게 과연 가능할까? 하여 앞으로 인류가 ‘디지털 치매’에서 벗어나기는 점점 요원해 질거라는 가벼운 절망감이 든다. 마치 변곡점을 넘어버린 기후변화처럼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