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수학이 필요한 순간 - 인간은 얼마나 깊게 생각할 수 있는가
김민형 지음 / 인플루엔셜(주) / 2018년 8월
평점 :
나에게 수학은 지독한 낯섦이었다. 끝없이 쫓아다니고 아무리 끌어 안으려 해도 도저히 익숙해지지 않는 그 무엇. 조금 알게 되었다 싶다가도 결국 내가 이것에 대해 무지하다는 걸 깨닫게 되는 불가해한 존재였다. 고등학교 시절, 다른 과목은 그럭저럭 적응이 되었지만 수학만큼은 졸업할 때까지도 ‘납득‘이 되지 않는 과목이었다. 그해 수능 수리영역이 쉽게 출제되지 않았다면 내 운명이 지금과는 많이 달라졌을지도 모르겠다.
세계적인 수학자 김민형 교수의 <수학이 필요한 순간>을 읽는다고 갑자기 수학의 원리를 깨치게 되는 마법은 일어나지 않는다. 수학이 쉽게 느껴지지도 않을 것이다. 당연하다. 이 책은 일타강사의 수학 요령 익힘책이 아니니까. 이 책은 제목대로 다양한 학문의 발전 과정 중에서 수학이 기여한 순간을, 그리고 수학이 어떻게 그 학문의 언어로 기능했는지를 보여주는 책이다. 이 책을 통해 수학적으로 사고한다는 게 대체 어떤 건지, 질문에 답하기 위해선 어떻게 논리의 끈을 이어가야 하는지를 어렴풋이 알게 된다.
처음 수학이 발명되었을 땐 곱셈, 나눗셈은 물론이고 덧셈, 뺄셈 조차 보통의 사람에게는 이해가 불가능한 영역이었다. 지금 시점에선 이해가 잘 안 될 수 있겠지만, 따지고 보면 당시의 인류에게 사칙연산은 완전히 새로운 추상적 도구였을 터였다. 수의 영역이 자연수에서 정수로, 그리고 유리수, 실수, 복소수로 확장되면서 가능한 사고의 폭과 깊이도 늘어났다. 기하와 대수, 확률은 이제 전문가의 전유물이 아닌 우리가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필수재가 되었다. 장마철이 되면 당장 스마트폰으로 그날의 비올 확률부터 검색하니까.
이 책은 나같이 수학에 젬병인 사람이라도 논리적으로 추론하는 능력만 있다면 쉽게 읽을 수 있다. 김민형 교수는 수학적 논리가 일상의 논리와 별반 다르지 않다고 말한다. 좋은 논리와 나쁜 논리가 있을 뿐, 수학의 논리라고 해서 특별한 것이 아니고 그렇기 때문에 다른 학문에도 응용될 수 있는 것이라고 말이다. 따라서 과학에 관심이 있다면 더더욱 이 책에 재미있게 빠져들 수 있다. 수학적 사고가 과학의 발전에 어떻게 기여했는지를 이만큼 알차게 보여준 책이 또 있을까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