솔라
이언 매큐언 지음, 민승남 옮김 / 문학동네 / 2018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마이클 비어드. 노벨물리학상을 받은 저명한 학자. 그러나 그의 빼어난 성취의 시간은 이미 이십년 전에 끝났다. 지금 그는 노벨상 수상자라는 타이틀로 먹고 사는 신세다. 대머리에 뚱뚱하고 키작은 이 남자는, 네 번의 결혼을 실패하고 지금 다섯 번째 결혼도 위기에 처해 있다. 그의 아내 퍼트리스가 건축업자와 외도를 시작했기 때문이다. 이 위기는 사실 비어드가 자초한 거나 마찬가지다. 그는 강박적으로 바람을 피우는 타입의 사람이었고, 이를 참다못한 퍼트리스가 복수를 시작한 거니까. 원인 제공이야 어찌됐든 비어드는 미칠듯한 질투심에 불탄다.

이 즈음 기후 변화에 대처하기 위한 정부 연구소의 책임자 자리를 얻은 비어드는 친환경에너지 개발에 온 열정을 쏟는 연구원 톰 올더스를 만난다. 비어드는 하루종일 자기를 쫓아다니며 자신의 아이디어를 받아들이도록 설득하는 올더스를 성가셔 한다. 그러나 어떤 중요한 사건을 계기로 비어드는 이 아이디어에 관심을 갖게 되고 비어드의 인생은 완전히 바뀐다.

이 책은 아이러니로 가득 차 있다. 기후 변화 위기에서 인류를 구한다는 숭고한 사명을 짊어진 과학자가 그 내면의 도덕성은 형편없다는 아이러니. 자신의 끊임없는 외도로 다섯 번의 결혼을 모두 실패하고, 노벨상 수상자이면서도 새파랗게 젊은 포닥의 아이디어를 훔쳐 청정 에너지를 개발에 나서고 투자자를 끌어 모은다. 그는 화석연료의 무절제한 사용으로 지구가 망가진다고 주장하면서 정작 자기 몸은 폭식과 폭음으로 망가져 간다. 결혼을 다섯번이나 했지만 일평생 아이만큼은 절대 갖지 않던 그에게 마지막까지 대가 없는 사랑을 준 건, 다름아닌 그가 원치 않던 늦둥이 딸이라는 것도 아이러니 중 하나다.

소설 내내 비어드는 인문학자들을 경멸하고 무시한다. 인문학자들은 과학에 의거한 사실과 데이터를 임의의 해석의 영역으로 끌고 들어가 어줍잖은 논쟁을 벌인다는 이유로. 작금의 PC주의자와 페미니스트에 대한 공격의 지점과 일치한다. 소설 속에서 비어드가 겪는 봉변은 ‘통섭’으로 유명한 사회생물학자 에드워드 윌슨이 실제 70년대에 당한 테러를 연상시킨다(원인은 좀 다르지만). 그러나 정작 비어드 또한 자기합리화와 위선으로 똘똘 뭉친 인물이라 인문학을 멸시할 자격은 없어 보인다. 여기서 이언 매큐언의 속내 - 대체 누가 누구를 비난하고 단죄하려 드는가? 너희는 그럴 자격이 있나? - 를 엿본 것 같아 조금 섬찟하다. 그 전 작품에들서도 언뜻언뜻 느껴지던 정체모를 불편함이 바로 이것이었나 보다.

출판사에서는 이 책을 블랙코미디라고 선전하지만, 이언 매큐언 특유의 질식할 듯한 답답함은 그대로 살아 있다. ‘코미디’가 아닌 ‘블랙’에 방점이 찍힌 작품이라는 말이다. 주인공 비어드로 체화한 수없이 많은 아이러니는 이언 매큐언이 독자에게 던지는 메시지이다. 인간의 본성은 이토록 모순으로 가득한 불가해한 것이라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