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쟁의 역사
버나드 로 몽고메리 지음, 승영조 옮김 / 책세상 / 2004년 4월
평점 :
절판


2차 세계대전의 수많은 명장 중에 누구나 한 번쯤 이름을 들어봤을 버나드 로 몽고메리가 있다. 북아프리카 사막에서 그 유명한 롬멜을 격파하고, 지상군을 총지휘하여 노르망디 상륙 작전을 성공시켰으며, 패튼과 지독한 앙숙이었던 당대의 명장. 2차대전의 빛나는 무훈 외에도 그가 후대에 남긴 유산이 있었으니 바로 이 <전쟁의 역사>이다. 저자가 팔순이 넘은 나이에 완성한 이 책은 기원전 7000년 전 예리코에서 벌어진 전쟁부터 현대의 냉전까지 약 9천년 간의 전쟁사를 다룬다. 주요한 전쟁을 개별적으로 서술한 역사서는 많지만 이처럼 전쟁 한 가지만을 주제로 한 통사(通史)는 거의 없다는 점에서 이 책이 갖는 가치는 각별하다.

9천년의 장구한 역사 만큼이나 방대한 분량의 이 책은 철저히 전쟁을 바탕으로 역사를 서술한다. 이를테면, 코르테스의 아즈텍 정복은 세계사적으로 어마어마하게 중요한 사건이지만, 몽고메리는 이 사건을 아예 다루지 않는다. 전쟁사적 관점에서 아즈텍 정복은 새로운 전술이나 무기가 등장하여 전쟁의 패러다임을 바꾼 게 아닌, 일방적인 학살에 불과하다는 것이다. 이처럼 군인의 관점은 역사가의 관점과는 다르다. 전쟁에 관련된 것으로만 역사와 국가를 바라보고 판단하기 때문에, 일반적인 역사 교육을 받은 사람이라면 의구심을 가질 만한 대목이 종종 등장한다. 특히 우리에게 친숙한 동아시아 역사가 그렇다. 중국은 평화를 사랑한 나머지 타 민족을 침략한 적이 없는 국가인 반면, 일본인들은 비견할 바 없는 전투 민족이다. 게다가 우리 입장에서는 도저히 받아들일 수 없는 내용도 있는데, 일본이 391년에 한반도 남부는 물론이고 개경까지 점령했다는, 일본의 임나일본부설보다도 황당한 주장이 그것이다. 하지만 전쟁사 답게 전쟁과 무기에 대해서는 비교적 정확하게 기술되어 있다. 예를 들자면, 전국시대까지 사무라이의 주된 무기는 우리가 알고 있는 이미지와 달리 칼이 아니라 활이라는 점 등이다.

다른 역사서에서 볼 수 없는 이 책 만의 장점을 꼽자면 양차대전을 전부 겪은 명장 중의 명장이 지은 책이라는 것이다. 과거의 전쟁들을 장군의 입장에서 상세히 리뷰하는 것은 물론이고, 자신이 만약 그 전쟁의 지휘관이었다면 어떻게 작전을 펼쳤을지를 독자에게 이야기한다. 저자는 지속적으로 전쟁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제너럴십 - 좁게는 지휘관의 통솔력이고 넓게는 전쟁에서 승리하기 위한 환경을 창조하는 것 - 이라고 주장하고 있기 때문에, 독자는 이러한 몽고메리의 전쟁 리뷰를 통해 지휘관의 관점에서 전쟁을 바라보게 된다. 아무리 탁월한 역사가라도 전쟁과 전략, 그리고 신무기의 전쟁사적 의미까지는 분석할 수 있겠지만, 실전을 수없이 겪은 노장의 관록은 절대 따라잡을 수 없다. 그래서 이 책을 읽는 경험은 특별하다.

영국 육군 원수까지 지낸 인물이라 그런지 역사 서술이 상당히 편향되어 있다는 점은 좀 불편하다. 영국이 치른 주요한 전쟁들에 많은 지면을 할애하여 아주 자세하게 다루고 있으며(심지어 영국과 관련된 인도는 한 챕터 전체를 할애한다. 중국, 몽골, 일본을 한데 묶은 것과 동일한 분량이다.), 본인의 최대 업적인 알라메인 전투는 쓸데없이 디테일하다. 또한 근대 아시아 파트에서는 진취적인 서양에 대비되는 나약한 동양이라는 유럽의 제국주의적 정서가 은연 중에 투영되어 있어 읽기에 많이 불편했다.

전쟁사에 관심 있는 사람이라면 반드시 갖고 있어야 할 책이지만, 안타깝게도 번역의 질이 좋지 않다. 군사 전문가가 아닌 문학 평론가가 번역한 탓에 곳곳에서 잘못된 용어가 난무한다. 1천 페이지가 넘는 방대한 분량의 책이어서 그런가 뒤로 갈수록 오역과 오탈자가 급증한다. 책의 레이아웃도 문제인데, 옮긴이 주를 적기 위해 한 페이지 중 3분의 1을 비워놓아서 쓸데없이 페이지 수가 늘어났다. 덕분에 목침으로 써도 될만한 두께여서 읽는 내내 책이 뜯어지지 않을까 전전긍긍했다. 우리나라 출판계의 양장본 사랑을 감안하더라도 580 페이지 가량의 원서를 1천페이지로 뻥튀기한 건 너무 심했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21-08-18 17:40   URL
비밀 댓글입니다.

지하철 독서가 2021-08-18 21:17   좋아요 0 | URL
손에 들고 볼 수 있는 사이즈는 아니예요. 독서대가 있어도 너무 두꺼워서 고정하기 어려울 지경이거든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