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류 우리 모두의 이야기 - 지금까지 모든 역사는 생존투쟁의 역사이다
패멀라 D. 톨러 지음, 안희정 옮김 / 다른 / 2014년 6월
평점 :
절판


’지금까지 모든 역사는 생존투쟁의 역사이다’라는 명제가 이 책의 부제이다. 딱 봐도 인류의 역사를 생존투쟁의 관점에서 개괄하려는 책이라는 느낌을 폴폴 풍긴다. 재러드 다이아몬드의 <총, 균, 쇠>나 유발 하라리의 <사피엔스>처럼 몇 개의 대전제를 세워서 역사의 흐름을 통찰하는 명저들과 궤를 같이하는 책이라 할 수 있겠다. 그럼 과연 이렇게 당당하고 자신있게 출사표를 던진 값을 하느냐고 물으면, 글쎄다.

위에서 예시한 두 저서의 명성을 좇으려면 잘 알려진 인류의 역사를 저자가 의도한 관점으로 해석해 내어야 한다. 그 과정이 얼마나 정치하며 명확한 논거를 갖고 있느냐에 따라 독자들은 저자가 제시한 대전제를 납득하고 받아들이게 된다. 그런데 이 책은 거창한 전제를 내세운 것에 비해 그리 새로운 관점을 제시하지 못한다. 인간의 탄생부터 현재까지의 인류 역사 전체를 다루고 있으나, ‘생존투쟁의 역사’라는 명제에 독자들이 설득되기엔 부족하다. 저자는 동 시대의 여러 사건들을 보여주면서 이런 사건들이 생존투쟁의 증거라고 주장하지만, 그 사건들 간의 연결고리가 크게 새롭지 않다는 게 문제다. 한 마디로 다들 아는 내용을 갖고 새로운 것이라고 주장하는 셈이라 다 읽고 나면 ‘이게 다야?’라는 허탈함이 밀려온다.

중간중간 개인의 일화나 소소한 사건들이 들어가 있어 잔재미를 주지만, 그런 면에서는 빌 브라이슨의 저서들을 도저히 따라갈 수 없다. 시작은 창대하나 끝은 미미하리라. 역사서를 좀 읽은 사람에게는 이도저도 아닌 책이라는 감상이 든다. 그 이야기는 거꾸로 말해, 인류 통사에 호기심을 느끼는 사람에게는 좋은 입문서가 될 만한 책이라는 뜻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