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디 - 우리 몸 안내서
빌 브라이슨 지음, 이한음 옮김 / 까치 / 2020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빌 브라이슨이 이번에 택한 주제는 바로 우리의 “몸”이다. 그는 과학사(‘거의 모든 것의 역사’), 영어의 역사(‘발칙한 영어 산책’), 사회사(‘거의 모든 사생활의 역사’)에 이어서 신체에 대한 백과전서를 만들어 냈다. 빌 브라이슨의 저서들은 크게 두 종류로 나뉘는데 위의 백과사전 류의 박학다식을 뽐내는 책들과 여행기(‘발칙한 유럽산책’, ‘나를 부르는 숲’ 등) 류가 그것이다. 어찌됐든 두 종류의 책 모두 대단히 재미있고 또 가볍게 읽을 수 있다.

가볍게 술술 읽을 수 있다는 건 이 두꺼운 책이 지닌 큰 미덕이다. 어차피 이런 류의 책에서 심오한 진리를 얻으려는 건 아니니까 말이다. 독자의 지적 호기심을 살짝 자극하고 순간의 놀라움을 주는 지식을 알려주는 것만으로도 이 책의 가치는 충분하다. 지금 나열하는 종류의 지식들 - 뇌는 우리가 무슨 일을 하든 상관 없이 일정한 속도로 하루에 400 칼로리를 소모한다, 코코넛 기름은 건강에 좋다는 일반적인 믿음과 달리 액체 형태의 포화지방에 불과하다, 겨울잠과 잠은 다른 것이며 곰은 사실 겨울잠을 자지 않는다, 뉴욕의 30세 흑인 남성은 방글라데시의 30세 남성보다 사망할 확률이 높은데 이는 마약이나 폭력 때문이 아니라 뇌졸중, 심장병, 암, 당뇨병 때문이다 등등 - 이 가득 차 있는 이 매력적인 책을 그냥 지나치는 건 쉽지 않은 일이다.

인체를 다루는 이 책은 필연적으로 의학의 역사이기도 하다. 인류의 평균 수명을 극적으로 늘린 수많은 선각자들의 이야기가 펼쳐진다. 마취제를 개발하고, 항생제를 발명하고, 각종 위생 수칙을 수립하고, 다양한 수술 기법들을 고안한 사람들. 인류에 대한 그들의 공헌에 걸맞은 영광을 얻은 이들도 있지만 얄궂은 운명으로 비극적인 말년을 맞은 이들도 많았다. C’est la vie!

거대한 화학 기계인 동시에 전자 장치인 인간의 신체는 아직도 탐험할 것이 무수히 남은 미지의 세계이다. 그래서 이 책은 역설한다. 우리의 존재는 경이 그 자체라고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