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드
코맥 매카시 지음, 정영목 옮김 / 문학동네 / 2008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세계는 멸망했다. 온통 잿빛의 하늘과 땅만 남은 세상. 강물도 말라붙고 생명은 자취를 감추었다. 여기를 아버지와 어린 아들, 단 둘이 걸어간다. 하염없이 바다를 향해. 멸망한 세계는 지독히 가혹하다. 자연이 완전히 망가져 언젠가는 다시 푸르른 지구가 되리라는 희망 따윈 기대할 수 없는 곳. 흔적만 남은 문명의 잔해에서 인간이 인간을 사냥하는 지옥이 펼쳐진다. 아버지는 아들을 살리기 위해, 정확히는 아들이 자기보다 먼저 죽지 않도록 필사적으로 노력한다. 항상 주위를 경계하고, 어떻게든 먹을 것을 구하고, 불을 피우고 쉴 곳을 마련한다. 식량을 구하는 게 거의 불가능한 환경에서 이들은 과연 얼마나 버틸 수 있을까?

한 페이지 넘기는 것 조차 두려울 정도로 무섭고 고통스러운 소설이었다. 특히나 부모로서 상상할 수 있는 가장 무서운 악몽이기도 했다. 까마귀 떼처럼 죽음이 머리 위를 뱅뱅 도는 삶 속에서 나는 얼마나 나 자신으로 살 수 있을까? 내 아이와의 끈을 언제까지 놓지 않을 수 있을까?

너무나 어둡고 우울한 소설이라 독자들은 이 책을 읽으며 끊임없이 행복의 실마리를 찾는다. 주인공들이 구원받았으면 하는 간절한 마음으로 혹시나 작가가 남겼을지 모를 희망의 복선을 찾아 책 구석구석을 훑는다. 하지만 구원은 독자가 기대하지 않은 방식으로 다가온다. 아이는 멸망 이후의 세계에서 태어나 이전 세계의 모습과 문화를 알지 못하나, 역설적으로 가장 휴머니즘이 넘치는 인물이다. 자기를 죽이려 했던 사람마저 연민하고, 길에서 만난 노인에게 먹을 것을 나누어 주자고 말한다. 당장 내일 식량이 떨어져 굶게 되어도 이상하지 않은 세상에서 말이다. 인간 불신으로 가득한 소설이지만 결국 구원은 인간에 대한 믿음을 통해 찾아온다. 포스트 아포칼립스의 세계를 다룬 작품은 많지만 이만한 걸작을 앞으로도 찾아볼 수 있을지는 의문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