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교양으로 읽는 수호지 - 난세가 만들어낸 영웅들의 통쾌하면서도 슬픈 반란 ㅣ 교양으로 읽는 시리즈
시내암 지음, 장순필 옮김 / 탐나는책 / 2021년 6월
평점 :

<삼국지>가 한나라 말의 황건적의 난으로 어지러운 세상에서 천하를 얻으려는 위, 촉, 오의 조조, 유비, 손권을 중심으로 한 영웅들의 이야기라면, <수호지>는 북송 말 수령 송강을 중심으로 양산박에 모인 108명의 도적들의 영웅적인 이야기이다. 삼국지가 지배층간의 패권다툼이라면, 수호지는 서민층의 이야기다.
그래서인지 수호지는 삼국지보다 이야기가 생생하고 거침이 없다. 체면을 차리거나 명분을 내세우지 않고 불의를 보면 바로 사람을 때려 죽이거나 쳐죽이고, 호랑이를 때려 잡고, 남녀간의 치정과 운우지정이 거침없이 그려진다. 사람들이 흥미로워할 만한 이야기들이 대거 등장하고 돌려 말하지 않으므로 시원시원하게 읽을 수 있다.
양산박으로 합류하는 인물들은 대부분 벼슬을 하다가 불의를 참지 못하고 사고를 친 사람들이다. 노지심, 임충, 조개, 무송, 송강을 비롯한 인물들이 벼슬을 하는 중에 억울한 일을 당하거나 그러한 사람을 돕다가 사람을 죽이게 되고 당시 법으로는 받아들여지지 않으므로 도적의 무리에 가담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들이 처음부터 평민이 아니었기 때문에 관군과 싸울 때에도 작전과 체계를 갖출 수 있었다. 기본적으로 백성들을 약탈하지 않겠다는 계율이 있었던 양산박과는 달리, 관군은 오히려 그렇지 않았다. 천자가 관군을 내며 백성들은 괴롭히지 말라고 글을 내릴 정도이니 당시 관리들의 부패를 실감할 수 있다.
<수호지>에 나타난 북송 말 사회풍습 중 놀라운 것은 인육을 먹는 것이다. 인육으로 만두를 만들어 파는 부부가 등장한다. 주막에 들른 사람을 골라 몽환약을 먹이고 기절시켜 사람 고기를 사용한다. 송강도 하마터면 이들에게 죽을 뻔하다가 살아난다. 또한 적을 산 채로 잡아 그 분함을 못 참아 내장을 꺼내 안주로 먹었는지, "두목의 안주거리로 간과 염통이 도려지는 순간(270)"이라고 서술하는 것을 보면 인육을 먹긴 먹었던 것 같아 소름끼친다.
이번에 읽으며 지략가를 새삼 발견하게 되었다. <삼국지>에 촉의 유비 곁에 제갈공명이 있듯이 양산박의 송강 곁에는 오용이 있다. 그의 지략으로 관군과의 싸움에서 승리를 거두기를 여러차례한다. 예전에 읽었을 때 오용의 활약이 눈에 띄지 않았던 이유를 모르겠다. 관군의 수를 내다보고 대처하는 것이 제갈공명에 못지 않다. 그의 수가 어떻게 진행되는지를 보며 즐겁게 읽을 수 있다.
책의 몰입도가 좋다. 제목에서 앞으로 어떻게 될지를 미리 알려주기 때문이다. 이를테면 '조개, 양산박의 새 두령이 되다'는 그저 생신강을 훔친 도적의 두목에 지나지 않았던 조개가 갑자기? 어떻게 양산박에 들어가게 되지? 기존 두목은 어떻게 되지? 하면서 읽을 수 있다. 또한 '송강, 양산박의 새 두령이 되다' 역시 조개의 원수를 갚은 노준의가 조개의 유언에 따라 수령이 되어야하는데, 노준의가 이를 거절하고 송강을 내세운다. 그러나 이를 호락호락 받아들일 송강이 아니다. 어떻게 받아들이지? 무슨 일이 벌어지는 거야? 질문이 풀릴 때까지 계속 읽게 된다.
이 책은 여러 권의 책을 하나로 응축한 것이어서 등장인물들이 수시로 바뀌고 이야기 진행속도가 빠르다. 아직 수호지를 읽어보지 않았다면 스피디하게 전개되는 이 책 한 권을 먼저 읽어보는 것도 좋을 것 같다.
*리딩투데이 지원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