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양이는 발끝 하나 까딱하기 싫어 북멘토 그림책 22
잭 컬랜드 지음, 김여진 옮김 / 북멘토(도서출판) / 2024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고양이는 발끝 하나 까닥하기 싫어> 그림책의 표지 고양이의 모습과 표정은 발끝 하나 까딱하기 싫음을 전달해 준다.

"꼼짝도 하기 싫어......"라고 시작되는 그림책, 꼼짝도 하기 싫어하는 고양이를 보며 요즘 나의 모습이 떠올랐다. 나에게는 자주 꼼짝도 하기 싫은 마음이 꽤나 자주 올라온다.

친구들은 고양이 '그레그'를 부른다. 그레그에게 인사도 하고, 파티에 같이 가자고 제안도 하고, 저 너머에 뭐가 있는지 같이 보러 가자고 하기도 한다. 저 너머에 뭐가 있는지 같이 보자는 말에 그레그는 상상을 한다. 뱀이 '그레그'에게 다가오고, 곰이 '그레그'에게 다가오는 무시무시한 장면을 상상한다.

'그레그'는 사실 자신은 꼼짝하기 싫은 것이 아니고 울적해서 아무것도 하고 싶지 않을 뿐이라고 친구들에게 이야기한다.

친구들은 그레그의 울적한 마음을 전달받은 후, 그레그와 아무것도 하지 않고 곁에 있어도 되냐고 묻는다. 그렇게 자신의 마음을 전하고, 아무것도 하지 않고 함께 곁에 있어주는 친구들을 경험한 그레그는 비로소 자신의 이야기를 할 힘을 얻는다. 마지막 장면에서 그 마음을 느낄 수 있었다.

누군가는 꼼짝하기 싫은 사람을 보고 게으르다고 말할지도 모른다. 사실은 게으른 게 아니라 울적한 마음 때문에 아무것도 할 수 있는 힘이 없는 것인데 말이다. 어쩌면 꼼짝도 하기 싫은 자신도 자신의 울적한 마음을 알아채지 못할지도 모른다. 나의 마음을 알아챌 수 있다는 것, 나의 마음을 누군가에게 솔직하게 전할 수 있다는 것, 그리고 이해해 주고 함께 곁에 있어주는 누군가가 있다는 것이 얼마나 소중한 것인지 느낄 수 있는 그림책이었다.

* 이 책은 출판사로부터 제공받아 주관적인 의견에 의해 작성하였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행복을 기르는 새
야나 지음 / 올리 / 2024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행복을 기르는 새> 그림책의 그림이 예뻐서 그림책을 보고 싶었다. '행복'이라는 단어는 정의하기 쉽기도 하고 어렵기도 하다. <행복을 기르는 새> 그림책에서 '행복'은 어떤 의미를 담고 있을지 궁금한 마음으로 그림책을 펼쳤다.

그림책의 저자는 오래전 이탈리의 북부 '깜비아노'라는 마을에서 살았던 적이 있다고 한다. 이 그림책에 등장하는 작은 새의 이름은 '깜비아노'이다.

씨앗을 많이 가지고 있는 깜비아노는 씨앗을 심고 기다린다. "어떤 열매가 나올까?"라고 기대하면서 열매를 기다린다. 매 장면 그림을 보며 떠오른 단어는 '다채롭다'이다.

깜비아노의 열매에는 이야기도 담겨 있고, 아름다운 소리를 내기도 하고, 아름다운 그림을 펼쳐내기도 한다. 열매를 만나는 깜비아노의 모습이 참 행복해 보였다. 그러나 좀처럼 싹이 자라지 않는 씨앗을 만나게 되고, 깜비아노는 지친다.

그리고 쉽게 열매를 얻을 수 있는 장소를 발견한다. 자신이 키우는 씨앗의 싹이 자라지 않아 지쳐버렸고, 쉽게 열매를 얻을 수 있는 곳을 알아버린 깜비아노의 삶은 어떻게 흘러갈까?

이 그림책을 보며 '진정한 행복이 무엇일까?'를 생각해 보게 된다. 그리고 어떤 열매가 열릴지 모르지만 씨앗을 심는 깜비아노를 보며 나는 어떤 씨앗을 가지고 있을지, 씨앗을 잘 심고 기르고 있는지 돌아보게 된다. 씨앗의 싹이 자라지 않아 지쳐버린 깜비아노에게 응원과 격려를 해주고 싶은 마음도 든다.

그림책의 제목이 <행복을 기르는 새> 이니, 깜비아노는 다시 행복을 기르러 자신의 원래 자리로 돌아오지 않을까? 그리고 진정한 행복을 만나지 않을까? 생각해 보며 글을 마친다.

* 이 책은 출판사로부터 제공받아 주관적인 견해에 의해 작성하였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뿡뿡뿡 뿡산
안도 지음 / 초록귤(우리학교) / 2024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방귀' 단어만 들어도 빵빵 터지는 6살 아이가 집에 있다. <뿡뿡뿡 뿡산> 그림책을 보면 분명 좋아할 것 같아서 아이와 함께 보았다.

<뿡뿡뿡 뿡산> 앞표지에는 사람들, 동물들이 산에 모여 앉아있다. 아마도 뿡산일듯 하다. 모두 웃는 표정이나 편안한 표정이다. 밝은 에너지가 전해지는 표지를 보니 그림책을 보기 전부터 기분이 좋아진다.

앞면지에는 '뽕'이라는 단어로 가득 차 있다. 왠지 웃음이 나온다.

시청에서 뿡산을 오고 가는 909번 버스가 등장한다. 종착점 이름이 재미있다. '시청, 부대끼리, 힘주면 ,나오리, 뀌리, 참으리, 뿡산' 어른들에게 웃음이 나는 포인트다. 버스에 탄 사람들은 배가 부글부글, 꾸르륵, 끙 한다. 누구나 이런 경험 한 번쯤 해보지 않았을까? 공감되는 장면이다.

그리고 버스에서 내린 할머니들은 뿡산을 오르며 방귀를 뽕뽕뽕! 뀌고, 할아버지들은 방귀를 뿡뿡뿡 뀐다. 아이들의 방귀 소리는 봉봉봉 보봉! 그렇게 사람들뿐 아니라 자동차, 식빵 등 그림책에 다양한 등장인물이 방귀를 뀐다. 식빵의 방귀소리는 어떨까? 한 번 상상해 보시길! 아이와 이 부분에서 제일 웃었다.

뿡산을 오르내리는 등장인물들의 유쾌하고 어쩐지 시원해 보이는 모습이 그림책을 덮은 후에도 좋은 기분을 전해준다.

* 이 책은 출판사로부터 제공받아 주관적인 견해를 더해 작성하였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변화에 강한 아이는 놀이 지능이 다릅니다 - 3~7세 아이를 성장시키는 놀이 지능의 비밀
장서연 지음 / 웨일북 / 2024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변화에 강한 아이는 놀이 지능이 다릅니다> 책을 보았다. 표지에 2개의 문장이 더 있었다. 하나는 '3~7세 아이를 성장시키는 놀이 지능의 비밀' 또 하나는 '빠르게 변화하는 시대에 잘 적응하려면 놀이부터 달라져야 합니다.'이다.

'놀이'는 아이들에게 '밥'이라는 말이 있을정도로 '놀이'는 아이들에게 뗄레야 뗄 수 없는 단어이다. 그만큼 놀이는 중요한데, 진짜 놀이와 가짜 놀이를 부모가 구분하고 아이들이 진짜 놀이를 할 수 있도록 지원해주는 것이 중요하다는 생각을 한다. 아니 지원해주지 않더라고 진짜 놀이를 방해하지 않아야 한다는 생각이다.

저자는 영유아를 14년간 지도하며 부모 교육을 담당해본 경험이 있는만큼 아이들의 특성과 놀이에 대해 잘 이해하고 경험한 후에 이 책을 펴냈다.

저자의 프롤로그가 인상 깊었다. 점점 놀이터에 나와서 마음껏 뛰노는 아이들을 보기 어려워지는 시대, 학원을 가는 아이들이 많아져서 학원을 가지 않으면 놀 친구가 없다는 이야기 등을 듣게 되는 시대이다. 저자는 진짜 놀이에 대해 알려주며 변화된 시대에 대한 안타까운 마음을 전하기도 한다.

불안한 마음의 부모들의 마음을 이해하며 '놀이'가 주는 힘을 이야기하는 저자의 마음이 와닿았다. 그리고 시대의 변화에 적응하는 아이들에게 '놀이'가 왜 중요한지 알려주고 있다.

1장에는 아이들의 진짜 놀이에 대한 이야기를 들려주고 '잘 노는 아이가 변화에 강한 이유, 놀이 지능'에 대한 이야기를 들려준다. 2장에서는 아이의 놀이 지능을 키우는 일주일 놀이법을 제시하고 있다. 사례가 담겨 있어서 부모가 아이들의 놀이를 지원해주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많은 부모들이 '놀이'의 중요성을 깨달았으면 한다. 그리고 마음껏 놀 수 있는 아이들을 많이 보았으면 하는 바람으로 글을 마친다.

* 이 책은 출판사로부터 제공받아 주관적인 견해에 의해 작성하였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엄마를 사랑해서 태어났어
이케가와 아키라 지음, 이서은 옮김, 정원재 일러스트 / 시월의책 / 2024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일본의 산부인과 의사가 육아 중인 부모, 예비 부모를 위해 쓴 책이라고 한다. <엄마를 사랑해서 태어났어>라는 제목이 눈길을 끈다.

저자는 아이들을 대상으로 태내 기억과 탄성 기억을 조사하였다고 한다. 아이들이 뱃속에 있을 때의 기억을 이야기 할 수 있을까? 의문을 가지며 책을 보았다.

아이들이 실제로 대답한 이야기를 들으면 진짜 뱃속에서 있었던 일을 기억하나? 하는 생각이 든다. 저자는 태어나기 전의 기억이 사실인지 아닌지에 대해서는 잠시 미뤄두라고 이야기를 한다. 그저 아이들의 이야기에 귀를 기울여보라고 말한다.

저자가 놀라움을 느끼며 인터뷰를 한 내용 중 '마쓰다 게이타'라는 5세 남아는 "너는 왜 태어났어?"라는 물음에 "나는 '엄마, 사랑해.' 말하려고 태어났어."라고 대답한다. 엄마는 아이에게 이 말을 들으면 참 행복한 기분이 들었을 것 같다. 또 '류노스케'라는 아이는 "어떻게 엄마를 골랐어요?"라는 질문에 "전 세계를 돌아봤는데 데우리 엄마가 가장 좋았어요."라고 대답한다. 아이들의 말들이 참 예쁘다.

책은 아이들을 인터뷰한 아이들의 사랑스러운 대답으로 구성되어 있다. 뱃속의 이야기를 들려주는 아이들의 모습을 들으며, 예비 부모 그리고 육아를 하고 있는 부모가 아이들에게 어떤 말을 들려주어야 하는지 늘 어떤 생각으로 어떤 마음가짐으로 지내야하는지 깨닫게 해주는 책이라고 느꼈다.

언젠가 아이의 질문에 '엄마, 아빠가 너를 만나려고 기도했었어.'라고 이야기한 적이 있다. 그 후로 아이는 '엄마, 아빠가 기도해서 내가 찾아왔지.'라고 말하곤 했다. 책을 본 후에 아이에게 책에 나온 질문을 해봐도 좋을 것 같고, 아이를 기다리면서 엄마와 아빠의 마음이 어땠는지 어떤 일이 있었는지에 대해 이야기해봐도 좋을 것 같다고 생각했다.

* 이 책은 출판사로부터 제공받아 주관적인 견해에 의해 작성하였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