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도망치고 싶을 때 읽는 책 - 삶에 지친 당신을 위한 피로회복 심리학
이시하라 가즈코 지음, 이정은 옮김 / 홍익 / 2017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이책은
우리는 일생에 정말 하고 싶은 일만 하고 살고 있지 않습니다. 돈을 벌기 위해서 가족을 위해서 아니면 각종 의무감으로 하기 싫은 일을 해야 합니다. 그렇게 계속 로봇처럼 반강제적으로 의무적으로 일하다 보면 현실에서 도피하고 싶은 생각이 하루에도 수십 번씩 듭니다.
저자에 따르면 우리는 그렇게 마음의 병을 키워간다고 합니다. 그러면서 도리어 우리에게 묻습니다. 우리가 도망치고 싶다고 생각하는 그 일들에서 도망치면 되지 않겠냐?고요. 도망치고 싶어 하면서 도망치면 안 된다며 스스로를 옭아맴으로써 더 큰 고통에 시달리고 있지 않느냐?고 반문합니다.
이책의 내용
이 책은 ‘도망치고 싶을 때 읽는 책’이라는 제목처럼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쓰여진 책입니다. 이 책의 저자인 이시하라 가즈코는 일본 카운슬링학회원이자 심리학의 권위자인로 이 책을 통해 도망치고 싶은 마음을 정면으로 마주하는 연습을 해나가야 한다고 주장 합니다. 즉 이 책에서 일관되게 강조하는 것은 도망치고 싶은 자신을 잘못되었거나 나약하게 생각하고 부끄럽게 여기지 말고 그 마음을 인정하고 정면으로 마주하여야 한다고 합니다.
자신에게 정말 중요한 것은 ‘현재의 감정’으로 그러한 도망치고 싶다는 감정이 자신을 지배하는 것은 ‘그때마다의 현재 시점의 마음’을 무시해온 것이 쌓인 결과라고 합니다.
이 책은 6개의 파트로 나누어져 있습니다. 각 파트는 도망치고 싶은 각각 다른 상황에서의 대처 방법을 기술하고 있습니다. 저자가 심리학의 권위자인 만큼 심리적인 측면으로 분석을 하고 대응 방안을 모색하고 있습니다.
일과 인간관계에서 도망치고 싶은 마음을 다루는 첫 번째와 두 번째 파트가 제가 보기에는 가장 일반적이고 중요해 보입니다. 파트1의 제목 아래에 미국 문학가인 마야 안젤루의 명언이 실려있습니다. ‘우리 자신으로부터 결코 떨어지지 않는 근심들로부터 우리는 한 번쯤 떨어질 필요가 있다’고요.
![](#)
저자는 좋은 휴식이란 그냥 쉬는 것이 아니라 쉬고 싶은 자신을 마음으로부터 허락하는 일이라고 합니다. 저는 이 말에 적극 공감하는데 몸이 쉬고 있어도 계속 할 일을 생각하면 쉬는게 쉬는 것이 아닌 경험을 많이 했기 때문입니다. 정말 쉴 때는 모든 것을 잊고 쉬어야 푹 쉴 수가 있는 것 같습니다.
마치며
해결책은 결국 자신과 마주하는 것으로 자신의 얼굴을 똑바로 바라보면서 힘들고 도망치고 싶은 것 그리고 어떻게 하념 좋은지 자신에게 솔직하게 털어놓고 스스로에게 있는 그대로 고백하는 것이 도망치고 싶은 현실을 제대로 파악하는 지름길기오 거기서부터 해결책이 만들어집니다.
저자는 어떤 일을 해야하는데 그 일에 대한 두려움을 느끼고 도망을 가고 싶다면 그 일을 작게 나누어 보라고 조언합니다. 전체로 보았을 때는 커보이는 일도 작은 일로 나누면 그리 힘들어 보이지 않을 때가 많습니다. 여기서 핵심은 매일 조금씩 실천하는 것인데 매일 조금씩 준비하고 실천하면 힘든 일이 없으며 도망치고 싶다는 두려움도 어느 정도 극복될 것이라고 합니다.
저자는 인간관계에 있어서도 엄청나게 다양한 세상의 모든 사람과 사이좋게 지낸다는 생각 자체가 타자중심의 의식으로 결코 이루어질 수 없는 꿈을 꾸는 것에 다름없다고 합니다. 그러므로 자기중심의 삶이 중요합니다. 일에 치이고 인간관계에 치여 모든 것을 놓고 떠나버리고 싶은 분들이라면 읽어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