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드웨이 - 어느 조종사가 겪은 태평양 함대항공전
프레더릭 미어스 지음, 정탄 옮김, 권성욱 감수 / 교유서가 / 2019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29p 공군 기지 -> 항공 기지

2차 세계대전 당시의 미군에는 공군이 없었다그럼에도 불구하고 책 초반부에 <공군>이라는 표현이 여러 번 나온다미 육군 항공대 예하의 단위부대(, 15th Air Force: 15공군)를 나타낼 때 외에는 쓰일 일이 없는 표현이다.

 

33p 탄약관리병 -> 무장사

항공기에 탄약을 탑재할 정도면 탄약관리병은 아니다.

 

책 전체: (배에 타는)승무원 -> 승조원

(이유는 모르겠는데해군/해사 계통에서는 승무원이라고 안 하고 무조건 승조원이라고 한다.

 

39p 항공비행전대(?)

그냥 항공전대또는 비행전대로 하면 된다처음 보는 표현이다.

 

(소매의)표장 -> 수장

구체적으로 뭘 말하는 건지는 모르겠지만 해군 장교들의 소맷부리에 계급을 나타내기 위해 달리는 줄 모양의 휘장은 수장이다.

 

마일 단위 환산:

영미권 필자들 나쁜 버릇이긴 한데해리(nautical mile)라고 써야 될 것을 그냥 마일(mile)로 써 버리는 경우가 많다아마 이 책에 나온 마일도 십중팔구는 해리였을 거다해상과 항공 관련 이야기가 주이기 때문이다.

 

90p 아베스토스 -> 아스베스토스

 

131p 포격술(?)

뇌격기에는 <>라고 할 수 있는 물건이 안 달려 있다원문을 보지 못해 뭘 번역했는지는 모르겠다만.

 

167p CV(중순양함)

CV는 미 해군의 함 분류 기호에서 재래식 동력 정규 항공모함을 의미한다중순양함은 CA.

 

171p 3개 중대 -> 3개 대대

군종을 막론하고 미군 비행대의 편제에는 대개 중대가 없다항공기 4대로 구성된 1개 편대가 3~6개 정도 모여 바로 대대(squadron)를 구성한다.

 

199p

해설에서 독일기가 태평양전선에서 운용되지 않았다고 했는데 소수이긴 하지만 일본은 분명히 독일제 항공기를 구입해 실험 목적으로 운용했다연합국 측에서도 이 사실을 인지하고일본측에 넘어간 것이 확인되었거나 그럴 가능성이 농후한 독일 기종에는 별도의 코드네임을 붙여 관리했다일본군 운용 Bf109의 코드네임은 마이크(Mike), Fw190의 코드네임은 프레드(Fred)였다(둘 다 실제로 일본군이 운용함).

 

277p

일본 군용기용 항공폭탄의 무게도 파운드 단위로 나오지만일본 군용기의 도량형은 미터킬로그램법이었다따라서 항공폭탄의 무게도 미터킬로그램법으로 표기되었다.

 

281p 해병대 경호대

원문이 뭔지는 모르겠지만아마 해병대 의장대(Guard of honor, 또는 Honor guard) 같다보통 경호원들이 장례식에서 조총 쏘지는 않는다.

 

302p 막사 -> 병사(兵舍)

대한민국 해군/해병대 한정이기는 한데장병들의 생활공간을 가리킬 때 <막사>라는 말을 쓰지 않았다대신 <병사>라고 불렀다요즘은 <생활관>이라는 표현이 더 주류인 것 같다만.


사진과 그림 등의 시각 자료도 문제가 많았다. 시대에 안 맞는 기록 사진이 버젓이 나와 있고, 항공역학 소개 그림은 어디서 가져온 건지 폴란드어가 적혀 있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