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선량한 차별주의자
김지혜 지음 / 창비 / 2019년 7월
평점 :
품절
처음에는 다소 따분하게 느껴져서 읽다가 한번 접었다가 나중에 전자 책을 다 읽고나서 책을 읽으니 그제서야 눈에 들어오기 시작했다. 이 책은 제목처럼 선량한 사람들도 차별주의자일수 있다는 뜻이다. 차별주의자는 선량하지 않은데 그럼 왜 선량한 이라고 이름을 붙일수 있느냐하면 자신이 무의식적으로 쓰고 있던 "결정장애"라는 말의 얘기에 장애가 있는 (당하는 사람의 입장에서)는 그게 차별이라고 생각 될수 있으니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는 의미.. 나름 논리적으로 이해도 가고 수긍이 되는 부분이었다. 사람은 자기가 속한 분야에 따라 n개의 조합으로 구분 될수 있으며 그 구분된 부분의 다수는 권력이 되고 그에 속하는 사람들은 그렇지 않은 사람들에 대해서 무의식적으로 차별하는 입장에 있을수 있다는것이고, 본인의 경험을 비추어 잘못된 점을 되짚으면서 나아가 많은 사람들이 그러한 입장에 있을수 있다는 점도 충분히 공감했다. 그럼 나는 차별주의자 인가? 나는 사회정의를 꿈꾸지만 어느정도 차별주의자가 될수밖에 없는 기득권이고 보수층이다. (보수당을 지지하지는 않지만)..
책의 논리에도 다소 억지스러운 부분도 있다. 이를테면 문재인 대통령이 (당시 후보자)가 TV토론에서 병역 관련논란에서 "동성애를 좋아하지 않는다"는 발언을 두고 권력의 힘을 가진 사람이 동성애를 싫어한다는 표현을 했다고 강하게 어필하고 있는데 사실 "좋아하지 않는다=싫어한다"라고 보는것은 너무 이분법적인 사고로 몰아가는건 아닐까 하고 생각한다. 좋아하지 않는다는건 소극적 표현이지 나는 이게 잘못되었어 라고 주장하는것은 아니지 않나.. 본인의 실수를 인정하고 우리모두 차별주의자가 될 수 있다는 책의 논지였다면 이런 부분도 비슷한 맥락으로 끌고 가야 하지 않았나 하는 생각도 있다. 책은 결국 차별금지법으로 나아가고 있다. 나도 그렇지만 많은 사람들이 차별 금지법을 모른다. 헌법에 차별하면 안된다는 조항이 있는데 또다시 법으로 금지해야 하는 항목이 들어가야 하는것이다. 그러면 그러한 내용만 적으면 된다. 역차별이 되면 오히려 사람들의 반응은 더 냉담해진다. 기득권인 남성들이 권리를 주장하는 시대다. 그만큼 남성들의 권리도 땅에 떨어졌다는 의미 이기도 하다. 또 다른 역차별이 있지 않도록 잘 조정된 결과가 있기를 기득권 입장에서 조심스럽게 소망해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