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트렌드 코리아 2020 - 서울대 소비트렌드분석센터의 2020 전망
김난도 외 지음 / 미래의창 / 2019년 10월
평점 :
다른 대안의 책이 있을까 라는 생각이 들 정도로 유명하기도 하고 매년 한해의 트렌드를 예측하는 의미로서의 이책은 의미가 있다. 다만 너무 말을 만들어내는 데 지나치게 집착하고 있지는 않은가 하는 거부감도 있다. 책의 1/3가까이 할애 하고 있는 지난해를 뒤돌아보는 내용들이 오히려 새로운 예측 보다도 의미가 있는것이 더 많았다. 한 해를 정확하게 예측하는것 자체가 요즘 처럼 빨리 변화하는 시대에는 더 어려운 일이 겠으나 예측보다는 예측이 맞았는지를 확인하는 것이 더 중요해진게 아닌가 하는 아이러니도 있고, 또한 맞는 예측이 있으려면 틀린 예측에 대한 반성도 있어야 하는데 책이 잘 팔리려면 이런점을 언급할 수 없으니 아이러니 하다.
2019년 책에서 뉴트로라 불리우는 새로운 세대를 위한 레트로는 크게 다가왔지만 "편리미엄"이라던가 "오팔세대" 처럼 과연 수많은 용어들이 쏟아지는 가운데 또다른 용어들을 만들어 내는것이 중요한건지는 다시 한번 생각해 볼만 하다. 스트리밍 서비스는 책에서도 얘기하듯 구독형 서비스라는 용어로 이미 사용되고 있는데 다시 재정의가 필요할지는 글쎄..
다만 외국책들에서 예를 든 외국의 사례가 아니라 우리나라의 사례가 많이 들어간 점이 이 책의 장점이고, 내가 몰랐던 많은 서비스들을 대신 알려주는 역할로서의 책으로도 이 책의 가치는 충분한듯 하다.